본문 바로가기

건강97

피부연고,안약,귀약 아이에게 사용시 주의해야할 점 아기에게 약을 사용할때 주의해야할 점 아기에게 가정에서 약을 사용할때 약의 종류별로 주의할 점과 올바른 사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약을 지시사항대로 잘 사용하지 못하면 안쓰니만 못합니다. 각 가정에서 올바른 약의 사용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아이의 질환을 회복시키시기 바랍니다. 안약이나 귀 약을 넣을 때 주의할 점 귀 약을 넣을 때 귀 주위를 면봉으로 닦아 깨끗이 한 후 머리를 옆으로 기울여 귀가 위로 향한 자세에서 지시된 양(보통 2~3방울)을 귓속에 떨어뜨립니다. 귀에 약을 넣은 후 약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약 2~5분 동안 머리를 옆으로 기울인 채 움직이지 않도록 합니다. 귀에 차가운 약이 들어가면 어지러울 수도 있으므로 사용 전 2~3분간 약병을 손으로 쥐어 약의 온도를 체온과 비슷하게 해줘야 합니다... 2022. 9. 7.
아기감기약 해열제 함부로 먹이지 마세요! 약에 대한 필수상식 모음ZIP 아이가 아프면 초보엄마아빠는 모르는 것 투성이지요.간호는 어떻게 해줘야할지, 뭘 먹여야할지, 말도 잘 못하는 아가를 어떻게 잘 돌봐야할지요.그 중에 가장 걱정되던건 약먹이기였습니다.어른이면 상관없는 약의 용량이 아기에겐 용량을 지키지 않으면 큰일날 것만 같아서요.그래서 미리 약에 대한 복용법과 보관법, 우리가 놓칠 수 있는 부분들을 알아두면아이가 아프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착착 잘 돌봐줄 수 있겠죠? 본문의 내용은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선생님의 글을 옮긴 것입니다.내용에 대해 신뢰하셔도 좋습니다.저도 정말 많이 도움 받으면서 육아를 하는 것 같습니다.아기에게 기응환? 청심환 먹여도 되나?약 복용 시간 간격, 식전식후 복용?한약이 양약보다 좋을까?상비약은 늘 구비해두어야하나? 등등 글을 읽으면 다양한 궁금증이.. 2022. 9. 6.
아이에게 약복용 올바르게 하시고 있나요? 약복용시 주의할점 가정에서 아이에게 소아과에서 진료 후 받은 약을 복용하게 할때 함부로 먹이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봐야 합니다. 혹은 약을 너무 믿고 남용하고 있지는 않은지요.. 저도 아이를 키우면서 처음 아이가 감기에 걸렸을때 약을 어떻게 먹이고 보관해야하는지 생각하게 되더라구요. 분명히 그런 부분을 궁금해하실 부모님이 있을 것 같아 삐뽀삐뽀119 저자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하정훈 선생님의 조언을 가져왔습니다. 첫 아이는 모든것이 새롭고 어려운 초보 부모님, 양육자님들 아이가 아플때 약을 어떻게 사용하고 주어야할지 기본적인 사용방법을 한번쯤은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약! 바로 알고 제대로 사용합시다 약은 정확한 사용 방법을 알고 써야 합니다. 적합한 처방을 통해 정확하게 조제된 약일지라도 지시대로 먹지 않거나 사용 방법.. 2022. 9. 2.
아이가 부딪혀 코피날때! 이유없이 코피날때! 코를 파다 코피날때! 이렇게 해주세요~ 가정에서든 놀이터에서든 코피가 나는 상황은 언제든지 있을 수 있는데요. 사고에 대한 경험이 없는 아이들은 위험에 대한 한계를 아직 모르기 때문에 부모의 주의가 더더욱 필요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이들이 다치는 경우가 있어요. 어제 저희 아이는 혼자서 놀이터 흔들목마를 신나게 흔들고 있었는데, 엄마와 아빠가 바로 곁에서 보고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반동으로 인해 손잡이에 코를 세게 박았답니다. 그러고나서 많이 아픈지 울다가 코피가 터져나오더라구요. 순간 너무 당황해서 얼음이 되었습니다. 생각보다 피가 많이 나오는 것처럼 느껴져 무섭더라구요 하지만 10분정도 후에 다행히 코피가 멈추고 아이 컨디션도 돌아왔습니다. 저와 같은 경험을 한 부모들이 많을 것 같아요. 그래서 코피를 흘렸을때 대처방안에 대해 글을 올.. 2022. 8. 29.
수족구는 왜 걸리는걸까요? 원인과 증상, 대처방법 알아봅니다. 입안에 물집이 잡히는 수족구병 단체생활을 하는 어린이집, 유치원을 다니는 영유아의 경우 유행성 질병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요즘은 특히 수족구병으로 많은 아이들이 고생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예방접종을 따로 할 수 없고 걸렸던 경험이 있어도 재 감염이 쉬운 질병이라 각별히 조심을 해야겠습니다. 무엇보다 위생관리가 필수 입니다. 수족구병이란? 수족구병은 이름 그대로 손과 발과 입안에 물집이 잡히는 병입니다. 미국 사람도 수족구병을 'Hand-foot-and mouth' 병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열이 나고 입안이 헐어 아파서 먹지도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름이 거창해서 그렇지 열나는 감기와 거의 마찬가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만 입안이 헐어서 먹지 못하는 아이들이 많다는 것이 좀 다를 뿐입니다. .. 2022. 8. 25.
신생아 외출은 언제부터 가능한가요? 우리 아기, 언제부터 업고 외출할 수 있나요? 업어주는 것이 아기의 정서 안정에 도움이 되는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넘어가게 울던 아기가 업어주면 울음을 뚝 그치는 것만 보아도 업는 것이 아기들에게 기분 좋은 일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아기를 업으면 엄마가 아기를 보면서도 두 손을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일이 그렇듯이 업어주는 것도 지나치면 곤란합니다. 사랑을 주는 것은 좋지만 업혀있는 시간이 많으면 아기 스스로 기어 다니고 걸어 다니면서 많은 것을 접하고 배우는 기회가 줄어들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흔히 손을 탄다고 말을 하듯, 너무 자주 업어주어 습관이 되면 계속 업어달라고 울어대는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아기가 밤에 깨서 울 때마다 업어서 재우면 엄마도.. 2022. 8.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