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97 아기에게 지사제 함부로 먹이지마세요 아기설사 꼭 알아야하는 것들(2) 아이가 설사를 할 때 알아두어야 할 것들(2) (1)번 포스팅에 이어서 설사하는 아기에게 주의해야할 것들에 대해 알아봅니다. 해당 글은 소아청소년 전문의 하정훈 선생님의 글입니다. 지사제는 병을 악화시킬 수도 있어 • 설사하는 아기에게 지사제를 함부로 먹여서는 안됩니다 설사는 장운동을 빠르게 하고 장에 물을 많게 해서 우리 몸에 들어 있는 나쁜 것을 몸 밖으로 빨리 내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지사제를 먹여서 설사만 멎게 하면 나쁜 것을 몸 밖으로 못 내보내게 되어 병이 갑자기 심해질 수도 있고, 장에 손상을 줌으로써 만성적으로 장이 나빠져 나중에 고생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코 같은 점액이 섞여 나오는 곱똥이나 피가 섞인 설사를 할 때는 집에서 미리 설사 멎는 약을 사용하면 안됩니다. 잘못하면 위험.. 2022. 8. 1. 아기가 설사할때 대처방법 부모라면 꼭 알아두어야 할 것들(1) 아이가 설사를 할 때 알아두어야 할 것들(1) 설사를 일으키는 각각의 병은 각각의 경우에 맞는 특이한 치료법이 있습니다. 세균성 장염은 항생제를 쓰기도 합니다. 우유 알레르기가 있으면 특수분유를 처방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소아과의사들이 신경을 쓸 일이고 엄마들이 신경 써야 할 중요한 일은 아이들이 설사를 할 때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일반적인 대처법입니다. 해당 글은 소아청소년 전문의 하정훈 선생님의 글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수분 공급입니다 • 아기가 설사를 하면 우선 수분 섭취에 신경을 쓰십시오 설사를 하게 되면 몸에서 수분이 빠져나가게 됩니다. 급성 설사를 하는 병은 그 원인에 따른 치료도 중요하지만 일단 탈수를 줄이는 치료를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엄마들께서 설사에 대해서 꼭 아셔야 하.. 2022. 7. 31. 아기설사증상정보 아기변상태 알아보기 아기의 설사 증상에 대해 알아봅시다(2) 설사를 할 때 동반되는 증상들 • 설사할 때의 증상은 진단을 붙이는 데 중요한 정보 설사는 장에 탈이 났다는 하나의 신호입니다. 설사를 할 때는 아이가 어떤 상태인가를 판단하기 위해서 동반되는 다른 증상을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설사를 할 때 동반되는 증상은 엄마가 아이를 소아과에 데려가야 할 것인가를 결정하게 하는 중요한 정보일 뿐만 아니라 소아과 의사가 진단을 붙이는 데도 중요한 정보입니다. 그래서 소아과에 갈 때는 변 기저귀를 가지고 가서 보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변을 볼 때 변에 코 같은 것이 많이 묻어 나온다면 장에 염증이 생겼을 가능성이 있으며, 변에 피가 섞여 나온다면 세균성 장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설사에 피가 섞인 변이 나오고, 아이가 자지러지고.. 2022. 7. 30. 아기설사원인과 증상 자가진단금지 기저귀가지고 꼭 소아과가세요 아기의 설사 증상에 대해 알아봅시다(1) 여름철 장염이나 노로바이러스 등으로 고생하는 아기들이 꼭 있습니다. 가정에서 이런 상황을 마주할때 당황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아이들이 겪는 설사증상과 대처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해당 글은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하정훈 선생님의 글입니다. 설사의 원인과 증상들 아이들이 가장 흔하게 걸리는 병은 감기와 설사입니다. 사실 아이를 키울 때 이 두 가지 병에만 안 걸린다면 아이가 아파서 소아과 의사 얼굴 볼 일도 별로 없을 것입니다. 공기 오염이 심해지면서 감기 환자가 계속 늘어나는 것과는 달리, 장염은 생활환경이 좋아지면서 크게 감소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여전히 설사는 감기 다음으로 흔한 병임에 틀림이 없습니다. 설사는 감기와 달리 많은 엄마들이 오해를 .. 2022. 7. 29. 아이 상처 제발 아무렇게 두지마세요! 모르면 평생 흉터로 후회하는 소아과전문의 추천 상처대처법 아이가 날카로운 것에 찔리거나 베었을 때 아이를 키우다 보면 의외로 예상치못한 상처가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눈깜짝할새 일어나는 일이라 부모도 당황스러울 수 밖에 없지요. 상처에 따라 대처하는 방법을 미리 알아두어야 합니다. 그래야 소독이 필요한 상처에 침을 바르거나 민간요법이라며 된장을 바르는 듯한 실수를 피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의 피부는 연약하기 때문에 상처가 흉이 되지 않도록 처음에 관리를 잘 해주어야 합니다. • 상처에 아무거나 바르지 마세요 상처 부위에 아무거나 바르면 치료하기가 더욱 힘들어져 간혹 아이들이 칼에 찔리거나 베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벼운 상처일 때는 지혈만 잘해도 상처가 저절로 아뭅니다. 그런데 상처가 크게 났을 때도 엄마들은 지혈에만 급급해서 가루약이나 항생제를 상처에 듬뿍.. 2022. 7. 28. 아기 모기나 개미,벌에 물렸을때 꼭 기억하세요! 영유아 모기나 벌레에 물렸을 때 대처방법 아이들 가운데 유난히 모기나 벌레에 잘 물리는 아이가 있습니다. 벌레에 물려서 문제가 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거나 특이한 벌레에 물렸을 때는 문제가 되기도 합니다. 대개는 모기에 물리는 경우가 많은데, 물린 자국만 봐서는 어느 벌레에게 물린 건지 쉽게 구별되지 않습니다. • 물린 곳을 긁다 보면 염증이 생기기도 합니다 모기나 벌레에 물려도 염증이나 알레르기 반응이 안 생기면 약간 가렵다가 괜찮아집니다. 그러나 물린 곳이 가려워서 긁다 보면 손톱에 있던 균 때문에 염증이 생기기 쉽습니다. 여름에는 화농이 생겨 더 심하게 붓기도 합니다. 따라서 아이의 손톱을 짧게 깎아주고 물린 부위와 손은 깨끗하게 씻겨야 합니다. 모기 물린 자리에 염증이 생겼다고.. 2022. 7. 27. 이전 1 ··· 4 5 6 7 8 9 10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