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영유아 및 어린이

아기설사원인과 증상 자가진단금지 기저귀가지고 꼭 소아과가세요

by 트루티 2022. 7. 29.
반응형

 

 

아기의 설사 증상에 대해 알아봅시다(1)

여름철 장염이나 노로바이러스 등으로 고생하는 아기들이 꼭 있습니다.

가정에서 이런 상황을 마주할때 당황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아이들이 겪는 설사증상과 대처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해당 글은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하정훈 선생님의 글입니다.

설사의 원인과 증상들

아이들이 가장 흔하게 걸리는 병은 감기와 설사입니다.

사실 아이를 키울 가지 병에만 걸린다면 아이가 아파서 소아과 의사 얼굴 일도 별로 없을 것입니다.

공기 오염이 심해지면서 감기 환자가 계속 늘어나는 것과는 달리, 장염은 생활환경이 좋아지면서 크게 감소하고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여전히 설사는 감기 다음으로 흔한 병임에 틀림이 없습니다.

설사는 감기와 달리 많은 엄마들이 오해를 하고 있는 병이기도 하고, 지금의 치료법이 전통적인 치료법과는 다른 점이 있어서 엄마들이 당황해하는 병입니다.

설사에 대해서 가지 필수적인 사항을 알아두면 이런 오해를 약간은 없앨 수가 있습니다.

 

설사는 병이 아니라 증상입니다

보통의 변보다 횟수가 증가하고 변에 물기가 많아지는 경우를 가리켜 설사라고 합니다.

설사 자체는 병이 아니라 병의 증상을 가리킵니다.

말은 설사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설사를 일으키는 원인을 먼저 밝혀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설사를 하면 변을 보는 횟수가 증가하고 변에 물기가 많아지면서 양도 늘어나며 냄새도 고약해집니다.

일반적으로 모유를 먹는 아기는 분유를 먹는 아기에 비해서 변을 묽게, 자주 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모유를 먹는 아기들의 변이 묽다고 해서 설사를 한다고 하지는 않습니다.

평소 변을 묽게 보는 아기라면 변이 설사냐 아니냐를 구분해야 합니다.

평소보다 변의 횟수가 증가하고 물기가 증가하는 것을 사라고 하는 만큼, 평소에 딱딱한 변을 2~3일에 보던 아이가 물기 많은 변을 하루에 번만 본다면 이런 경우도 일단 장의 상태가 바뀐 것이고 변의 상태가 바뀐 것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설명하기보다는 기저귀 보이는 것이 좋다.

병원 때는 비닐 봉지에 기저귀를 담아가세요

많은 엄마들이 설사하는 아기를 병원에 데리고 와서는 아기의 변에 대해 한참 동안 장황하게 설명합니다.

소아과 의사로서는 엄마의 설명을 10 듣는 것보다 아기의 변을 보는 것이 정확하고 시원한 입니다.

많은 엄마들이 의사가 싫어할까 일부러 변을 가지고 온다고 하지만 사려 깊은 소아과 의사라면 아기 변을 보고 얼굴을 찌푸리지는 않습니다. 소아과에 아기의 변이 묻은 기저귀를 가져가는 것은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닙니다.

다만 변이 묻은 기저귀는 소아과 쓰레기통에 버리지 마시고 집에 가져가십시오. 다른 아기들에게 병을 옮길 수도 있습니다.

아기설사
묽고 곱이 끼고 혈변이 보인 대표적인 설사변, 바로 진료가 필요한 상태


자가 진단은 절대 금물입니다

일전에 어떤 엄마는 아기의 설사 때문에 소아과를 이곳저곳 2개월이나 다녔다고 합니다.

며칠 치료해서 나으면 다른 소아과를 찾아다니고 해서 결국은 저희 소아과까지 왔습니다.

전에 다니던 소아과에서도 의사가 보자고 했지만 냄새 나는 기저귀를 가져가는게 싫어서 가져갔답니다.

그래서 제가 번을 당부한 끝에 가져온 변을 보니까 정상이었습니다. 엄마는 아기가 예쁜 변을 보니까 설사인 줄만 알았답니다.


약은 세게 쓰면 부작용만 증가합니다

위에서 예로 엄마는 그래도 이해가 갑니다. 정작 문제가 되는 경우는 의사가 아기 변의 상태 물어보면 아기의 병을 빨리 낫게 욕심으로 물기가 아주 많은 것처럼 증상을 튀겨서 설명하는 엄마들입니다.

약을 세게 쓰면 아기가 빨리 나을 거라고 생각해서 그런 것이지요. 아기가 빨리 낫기를 바라는 엄마의 마음을 모르는 바는 아니지만 의사에게 아기의 증상을 있는 그대로 설명하지 않으면 자칫 위험할 수도 있습니다.

약을 세게 쓴다고 해서 병이 빨리 낫는 것은 아닙니다. 설사약은 세게 사용하면 오히려 부작용만 증가하게 수도 있습니다.

 

설사를 일으키는 원인은 다양합니다
설사를 일으키는 원인은 무수히 많습니다

설사를 원인별로 분류해보면 크게 급성 감염성 설사와 감염 이외의 원인에 의한 설사 가지로 나눌 있습니다.

급성 감염성 설사로는 바이러스성 설사, 세균성 설사, 기생충에 의한 설사가 있고, 감염 이외의 원인에 의한 설사로는 항생제 사용에 의한 설사, 장외 감염으로 인한 설사, 식이성 설사, 영양 불량성 설사, 알레르기성 설사, 면역 결핍성 설사, 독성 설사 등이 있습니다.

설사의 원인이 이렇게 다양한 만큼 엄마들이 직접 원인을 밝히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엄마밖에는 원인을 밝힐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기가 상한 우유를 먹었다든지 생우유만 먹으면 설사를 한다든지 하는 경우는 엄마가 주의 깊게 관찰하지 않으면 의사가 원인을 밝히는 애를 먹게 됩니다.

설사의 원인도 예전과는 많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냉장고가 없고 위생이 불결하던 시절에는 식중독이나 이질, 장티푸스 등의 수인성 전염병에 의한 설사가 많았지만 요즘 흔한 노로바이러스 장염과 로타 장염은 바이러스가 원인인 설사입니다.

알레르기에 의한 설사도 드물지 않습니다.

아기가 설사를 하면 일단 소아과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엄마들이 가지 알아두어야 것은 엄마들이 생각하는 설사의 원인과 의사가 진단 붙이는 원인이 같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어떤 엄마는 아기가 우유만 먹으면 설사를 한다고 생각해서 의사와 상의도 하지 않고 아기에게 특수 분유를 먹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막상 진찰을 해보면 우유 알레르기보다는 감기가 원인인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엄마가 아기의 설사 원인에 대해서 이거다라고 단정을 지은 나름대로 치료를 시작하기보다는 일단 소아과 의사의 정확한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 실천하세요!!
아기가 묽은 변을 설사인지 아닌지, 설사면 얼마나 심한지를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아기의 변을 가져가 의사에게 직접 보여주는 것입니다. 병원 반드시 비닐봉지에 기저귀를 담아 가세요.

*
노로바이러스 격리기간
노로바이러스는 전염이 되는 병입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을 다니거나 학생일 경우 구토와 설사의 증상이 없어진 3일까지는 공동생활을 피하는 것이 권고됩니다.

그리고 전염을 피하기 위해서 환자뿐 아니라 같이 생활하는 사람도 수시로 비눗물로 손을 30 이상 씻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설사증상정보 아기변상태 알아보기

아기의 설사 증상에 대해 알아봅시다(2) 설사를 할 때 동반되는 증상들 • 설사할 때의 증상은 진단을 붙이는 데 중요한 정보 설사는 장에 탈이 났다는 하나의 신호입니다. 설사를 할 때는 아이

health.tru-ut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