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모기나 벌레에 물렸을 때 대처방법
아이들 가운데 유난히 모기나 벌레에 잘 물리는 아이가 있습니다.
벌레에 물려서 문제가 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거나 특이한 벌레에 물렸을 때는 문제가 되기도 합니다.
대개는 모기에 물리는 경우가 많은데, 물린 자국만 봐서는 어느 벌레에게 물린 건지 쉽게 구별되지 않습니다.
• 물린 곳을 긁다 보면 염증이 생기기도 합니다
모기나 벌레에 물려도 염증이나 알레르기 반응이 안 생기면 약간 가렵다가 괜찮아집니다.
그러나 물린 곳이 가려워서 긁다 보면 손톱에 있던 균 때문에 염증이 생기기 쉽습니다.
여름에는 화농이 생겨 더 심하게 붓기도 합니다.
따라서 아이의 손톱을 짧게 깎아주고 물린 부위와 손은 깨끗하게 씻겨야 합니다.
모기 물린 자리에 염증이 생겼다고 면역성이 약해진 것은 아닙니다.
물론 면역성이 약한 아이가 잘 곪지만 그런 아이는 그리 흔치 않습니다.
가볍게 붓다가 가라앉는 경우는 신경 쓸 필요가 없지만 물린 부위가 많이 붓고 딴딴해지고 화끈거리면 병원에 가서 치료해야 합니다.
특히 물린 자리에 물집이 생기거나 진물이 나면 꼭 병원에 가서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병원에서는 가려움증을 덜어주는 약이나 염증을 가라앉히는 약을 처방해줍니다.
집에서 가려움증을 덜게 해주려면 찬 찜질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벌레에 물린 상처를 우습게 보면 안 됩니다
저희 소아과의 경우 벌레에 물려서 생긴 상처 때문에 1년에 여러 명의 아이가 상처를 쨉니다.
벌레에 물린 것쯤이야 하고 가볍게 생각했다가 화농이 심해져서 째는 것이지요.
일단 상처에 염증이 생기면 바로 소아과를 가는 것이 좋습니다.
벌레에 물린 것 가지고 소아과까지 갈 필요가 있느냐고 고민할 필요는 없습니다.
소아과는 아이들의 병을 치료하는 곳일 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상태가 정상이라는 것을 확인할
는 곳이기도 하니까요.
여름에는 특히 모기에 물리지 않게 주의하세요. 아이들에게는 모기장이 최고입니다.
심각한 벌에 쏘였거나 개미에게 물렸을 때
• 벌에 쏘이면 병원에서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벌에 쏘였을 때 병원이 가까이 있다면 병원에서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벌에 쏘였다고 큰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간혹 아주 고생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집에서 된장 바르고 마냥 버티고 있으면 안 됩니다.
벌에 쏘이면 독주머니가 든 벌침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벌에 쏘인 곳은 잘 닦아주고 벌침이 남아 있는 경우는 침을 빼내야 하는데, 침을 쏨으로 뽑으려다가는 자칫 독주머니를 건드려 벌의 독을 퍼뜨릴 수도 있으므로 핀셋이나 날카로운 칼로 조심스럽게 제거해야 합니다.
벌에 쏘였을 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켜 위험하게 되는 경우가 가끔 있으므로 심하게 쏘였거나 전에 벌에 쏘였을 때 고생한 적이 있는 아이는 바로 병원에 데려가세요.
• 아이가 개미에게 물렸을 때 대처법
아이가 개미에게 물렸을 때, 아주 가려워 힘들어하기도 합니다.
물린 곳이 가려워서 긁게 되고, 긁다 보면 손톱 속의 균이 긁어서 난 상처를 통해서 피부로 침입하기 시작해 화농이 생길 수 있습니다.
화농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개미에게 물린 곳을 깨끗하게 잘 닦아주어야 하며, 아이의 손톱을 짧게 깎고 손을 자주 씻겨주어야 합니다. 물린 곳을 많이 가려워하는 경우는 스테로이드 연고를 바르면 도움이 됩니다.
꼭 알아두어야할 상식!
*상처 난 부위를 싸두면 안 된다?
예전에는 상처가 난 부위를 싸두면 큰일 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때는 소독약이 없어서 일단 상처가 나면 세균이 침입하기 쉬웠기 때문에 실제로 더운 날 상처를 싸두면 큰일이 나기도 했습니다.
세균이 침입한 상태에서 상처를 싸두면 균이 많이 번식하고 쉽게 곪아 상처가 더 커지니까요.
그러나 요즘은 소독약과 항생제가 발달해서 병원에서 소독하고 약을 먹으면 상처 부위가 세균이 없는 상태가 됩니다.
그러므로 외부에서 균이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상처를 싸두는 것이 상처의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병원에서 상처를 치료받은 후 상처에 감아둔 붕대는 함부로 벗기지 마십시오.
화상에 의한 상처도 마찬가지입니다.
*모기 물린 데에 뜨거운 숟가락 대지 마세요!
최근에 모기 물린 자리를 덜 가렵게 하려고 뜨거운 물로 데운 숟가락을 대어주는 경우를 간혹 봅니다.
아이들에게는 이런 것 하지 마세요.
특히 어린아이는 화상을 입을 수 있고, 실제로 이렇게 하다가 화상 입은 아이들이 간혹 발생하고 있습니다.
*벌레 물린 데 침 바르지 마세요!!
많은 분이 아직도 침을 의약품으로 사용하고 계십니다.
아이가 벌레에 물려서 가려워하거나 물린 부위가 부으면 그 자리에 침을 발라주곤 합니다.
침을 바르면 확실히 덜 가렵습니다.
침이 아니라 물을 발라도 가려움증은 줄어듭니다.
왜냐하면 물이 증발할 때 생기는 기화열로 인해 상처 부위가 차가워지는데, 이것이 마치 찬 찜질을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입은 우리 몸에서 가장 병균이 많은 곳입니다.
당연히 침에도 병균이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잘못하면 연약한 아이에게 병균을 옮길 수도 있으므로 상처 부위에 침을 바르는 것은 삼가해야 합니다.
*벌레 쫓는 약도 있습니다!
벌레에 잘 물리는 아이라면 벌레가 많은 곳에 갈 때 미리 DEET라는 성분이 든 약을 바르고 가는 것이 좋습니다.
시중에 벌레퇴치팔찌나 옷 위에 붙이는 간편한 모기퇴치스티커, 뿌리는 모기퇴치스프레이 등 아이들을 위한 제품이 많이 있습니다.
캠핑이나 야외활동 시 모기나 벌레에 취약한 아이들을 위해 미리 준비하세요.
'건강 > 영유아 및 어린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설사원인과 증상 자가진단금지 기저귀가지고 꼭 소아과가세요 (0) | 2022.07.29 |
---|---|
아이 상처 제발 아무렇게 두지마세요! 모르면 평생 흉터로 후회하는 소아과전문의 추천 상처대처법 (0) | 2022.07.28 |
아이에게 머릿니가 생겼어요! 머릿니의 원인과 대처법 파헤치기 (0) | 2022.07.19 |
아기가 삼키면 큰일나는 것들! 자석 건전지 모기향 방부제 세제 (0) | 2022.07.17 |
아기가 담배삼켰을때, 수은 먹었을때 응급조치 (0) | 2022.07.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