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 질환의 대표선수, 감기
호흡기 질환의 대표 격인 감기는 급성 비인두염이라고도 하는데, 주로 바이러스 때문에 코와 인두(목구멍 근처)에 염증이 생기는 병입이다.
감기는 우리와 아주 가까운 병입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감기의 치료와 예방에 대해 한마디씩 합니다.
그러나 감기는 잘 안다고 생각하는 것만큼이나 잘못 알고 있는 면도 많은 병입이다.
따라서 감기쯤이야 하는 생각으로 환절기를 맞이하기보다는 미리미리 감기에 대한 지식을 알아두고 대비하는 것이 소중한 아이의 건강을 지키는 지름길입니다.
특히 어린아이들은 어른보다 신체적으로 미숙하고 면역성도 떨어지기 때문에 감기에 더 잘 걸리고 합병증도 생기기 쉬우므로 더욱 신경을 써야 합니다.
환절기, 감기 조심하세요
• 감기는 왜 환절기에 더 잘 걸리는 걸까요?
감기는 추운 겨울보다 봄과 가을에 많이 발생합니다.
환절기에는 바이러스들이 자라기 쉬운 데다가 아이들의 몸이 환절기의 기후와 심한 일교차에 잘 적응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날씨가 따뜻해지면 감기 바이러스의 활동이 왕성해져서 4월부터 7월 초까지와 9월부터 12월까지가 연중 감기가 가장 기승을 부리는 때입니다.
• 황사와 꽃가루가 날리는 봄철에는 특히 더 조심해야 합니다.
봄철에 황사와 꽃가루가 날리면 감기 등의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쉬울 뿐만 아니라 이미 감기에 걸린 상태라면 합병증이 생기기도 쉽습니다.
황사가 날리면 한동안 우리 주위에 남기 때문에 일주일 이상은 방을 열심히 닦아야 합니다.
특히 중국의 산업발달로 인해 요즘 황사뿐 아니라 미세먼지까지 날아오는 경우가 많아 우리 몸에 무척 해롭습니다.
황사가 날리는 날은 가능하면 외출을 삼가되 피치 못할 사정으로 외출했을 때는 집에 돌아와서 반드시 샤워해야 합니다.
게다가 우리나라는 공기 오염이 심해서 감기에 더 잘 걸리고 증세가 심할 뿐만 아니라 합병증도 많이 생깁니다.
*고열 나면 감기 아닐 수도!
감기는 일반적으로 고열이 나지 않으므로 고열이 나는 경우는 감기 말고 인두염처럼 다른 병에 걸렸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소아청소년과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꼭 항생제를 사용해야 하는 병에 걸려도 고열이 날 수 있답니다.
생후 6개월이 지나면 아기가 감기에 잘 걸립니다
• 아기들은 보통 생후 6개월까지는 감기에 잘 안 걸립니다
감기는 어른보다 아이들이 훨씬 잘 걸리는 병이고, 소아의 다른 모든 질병을 합한 것보다 발병률이 훨씬 높습니다.
아기들은 보통 모체로부터 면역성을 받아서 나오기 때문에 생후 6개월까지는 감기에 잘
안 걸리다가, 면역성이 떨어지는 6개월째부터는 감기에 잘 걸리기 시작합니다.
생후 6개월부터 한 살 반이나 두 살까지가 가장 감기에 잘 걸리는 시기여서 감기만 따져도 일 년에 8~10번 이상 걸려 병원에서 살다시피 하는 아기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아기도 두돌이 지나면서부터는 감기에 덜 걸리기 시작합니다.
*생후 6개월 이전의 아기가 감기에 걸리면!!
생후 6개월이 안 된 아기는 원래 잘 아프지 않습니다.
그런데도 이월령의 아기가 감기에 걸렸다면 태어날 때 면역성을 조금 적게 가지고 나왔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원래 어린 아기는 면역성을 잘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면역성을 적게 가지고 태어난 아기는 감기가 잘 낫지 않고 나았다가는 또 걸리며 치료 도중에 합병증도 쉽게 생깁니다.
아기에게는 감기가 만병의 근원이므로 제대로 치료해야 하며, 어릴수록 반드시 소아과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특히 생후 6개월 이전의 아기가 감기에 걸리면 더욱 신경을 써야 합니다.
• 어린 아기가 감기에 걸리면 온몸의 컨디션이 나빠집니다
감기의 호흡기 증상으로는 재채기, 기침, 콧물, 가래 등이 있으며, 전신 증상에는 열나고, 보채고, 처지고, 입맛이 떨어지는 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그리고 아기는 호흡기뿐만 아니라 소화기도 감기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아기가 감기에 걸리면 온몸의 컨디션이 다 나빠집니다.
녹변과 묽은 똥은 아기의 감기에 흔히 동반되는 증상이어서 감기에 걸린 아기는 똥을 질퍽하게 자주 누기도 하고, 소화가 안 돼 잘 안 먹고 토하기도 합니다.
또 땀 조절이 잘 안돼 평소보다 땀을 더 많이 흘리기도 합니다.
이때 열은 약을 먹어도 보통 2~3일 동안 지속되는 경우가 흔합니다.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소화기관인 장에도 영향을 주어 설사하기도 합니다.
• 6개월이 안 된 아기는 증세가 약하더라도 진찰받아야
애석하게도 어린 아기는 감기가 심하게 걸려도 밖으로 드러나는 증상이 대수롭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가래가 조금 끓고 갸릉갸릉 하는 정도인데도 진찰해보면 모세기관지염인 경우도 있습니다.
어린 아기의 감기는 별다른 증상이 없다가도 갑자기 나빠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감기에 걸린 것 같으면 소아과 의사의 진찰을 꼭 받아봐야 합니다.
• 감기는 꾸준히 치료해야 합니다
아이들이 감기에 걸리면 대부분 전신 증상과 소화기 증상이 같이 나타나는 경우가 흔합니다.
물론 아이마다 특성이 있어서 어떤 아이는 콧물 나는 감기에 잘 걸리고, 또 어떤 아이는 열이 나는 감기에 잘 걸리기도 합니다.
그런가 하면 어떤 아이는 두통과 근육통이 동반되기도 하고 목이 아픈 아이도 많습니다.
그러나 어떤 증상을 보이든 감기는 관심을 갖고 꾸준히 치료해야 합니다.
감기는 치료받는 동안 증상이 더 심해지는 경우가 많아서 처음에는 미열이나 재채기만 약간 하던 아이도 치료받는 동안 목이 아프기도 하고 가래와 기침이 심해지기도 해서 힘들어할 수 있습니다.
치료한다고 감기 증상이 바로 좋아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아이들의 감기는 오래갑니다
• 우리나라는 공기 오염이 심해서 감기를 달고 사는 아이가 많아
물고기는 물에서 삽니다. 만약 물고기가 썩은 물에 살게 된다면 제대로 못 살 게 뻔합니다.
마찬가지로 사람은 공기를 마시며 삽니다. 그런데 그 공기가 오염되면 당연히 호흡기 질환에 잘 걸리게 되고, 일단 걸리면 잘 낫지도 않게 됩니다.
공기 좋은 나라에서 살다 온 엄마들은 아이가 외국에 있을 때는 병원에 거의 갈 일이 없을 정도로 건강했는데 한국에 오고 나서부터는 감기를 달고 산다고 불만입니다.
우리나라는 공기 오염이 심각합니다. 그래서 다른 나라보다 감기 환자가 엄청나게 많고 감기 증세도 심한 경우가 많습니다.
• 아이들 감기는 어른들 감기와 다릅니다
어른들은 심한 감기에 걸려도 저항력이 있기 때문에 저절로 좋아지거나 수일간 치료하면 증상이 금방 호전됩니다.
그리고 한 번 걸리면 스스로 면역성을 만들어 2~3주 동안은 감기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러나 아이들은 어른보다는 오래 아픈 경우가 많습니다.
한 번 걸리면 보통 일주일 이상 가기도 하고, 여러 번 반복해 걸리거나 합병증으로 오래 아프기도 합니다. 아이의 감기가 오래갑니다. 어떻게 할까요?
유감스럽게도 아직은 이렇다 할 특효약이 없습니다. 꾸준히 치료하는 것밖에는요.
*유아원 보내는 첫 몇 달간은 고생합니다!
집에서 잘 지내던 아이들이 유아원을 다니기 시작하면 갑자기 감기를 달고 살게 되고 나으면 또 걸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은 갑자기 이런저런 바이러스에 노출되는 것이 많아지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것입니다.
*주의! 또 주의!!
의사들이 말하는 감기와 엄마들이 말하는 감기는 서로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많은 엄마가 아이가 인두염, 비염, 모세기관지염, 천식, 폐렴 등에 걸려도 그냥 감기에 걸렸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이들 각각의 질환들은 그 치료 방법이 서로 다르고 특히 모세기관지염이나 천식, 폐렴 등은 의사의 진단 없이 그냥 감기약을 먹이면 증상이 완화되어 병이 심해져도 모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흔히 말하는 감기 증상이 있다고 해서 아이가 꼭 감기에 걸린 것은 아닙니다.
감기쯤이야 하고 가볍게 여기면서 종합감기약을 먹이다가 병이 나빠진 후에야 소아청소년과 의사에게 오는 경우가 흔합니다. 어린 아기들의 감기는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2022.06.02 - [건강/영유아 및 어린이] - 아이를 위한 감기 진료? 좋은 소아과 의사는?
아이를 위한 감기 진료? 좋은 소아과 의사는?
소아 의료의 주인공은 아이입니다. 소아 의료는 보호자와 의사가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최대 이익을 위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아이의 관점을 중심으로 두 가지 감기 치료 사례를 예
health.tru-uty.com
2022.05.25 - [건강/영유아 및 어린이] - 우리아이 감기에 대응하는 방법
우리아이 감기에 대응하는 방법
아이가 처음 감기에 걸렸을 때 자다가 열이 나거나 코가 막혀 숨을 잘 못 쉬는 등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당황스러웠던 경험이 있으실 것입니다. 어른에게 아무것도 아닌 '감기'라는 질병이 아이
health.tru-uty.com
'건강 > 영유아 및 어린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아과약 얼마나 두고 먹을 수 있나요? (0) | 2022.09.26 |
---|---|
아이에게 쉽게 약먹이는 7가지 방법 (0) | 2022.09.20 |
소아과병원에서 약 처방전에 꼭 알려야할 사항! (0) | 2022.09.08 |
피부연고,안약,귀약 아이에게 사용시 주의해야할 점 (0) | 2022.09.07 |
아기감기약 해열제 함부로 먹이지 마세요! 약에 대한 필수상식 모음ZIP (0) | 2022.09.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