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7

우리아이 감기에 대응하는 방법 아이가 처음 감기에 걸렸을 때 자다가 열이 나거나 코가 막혀 숨을 잘 못 쉬는 등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당황스러웠던 경험이 있으실 것입니다. 어른에게 아무것도 아닌 '감기'라는 질병이 아이에게는 아주 힘든 병이 될 수 있지요. 우리는 아이의 '감기'에 대해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소아 감기에 대한 정의와 진료 의사와의 관계, 부모님이 가져야 하는 마음가짐을 알아봅니다. 감기의 정의 감기에 대해 이야기를 하기 전에, ‘감기’라는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먼저 알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감기는 호흡기의 감염질환입니다. 일본 소아 호흡기질환 학회와 일본 소아감염증학회가 공동으로 작성한 [소아 호흡기감염 증진으로 가이드라인 2011]에서 ‘일반감기’ 항목을 살펴보겠습니다. 감기란 “콧물과 코 막힘이 .. 2022. 5. 25.
칼슘 과다 섭취 시 가져오는 부작용 2022.05.19 - [건강] - 칼슘의 이로움은 무엇일까? 칼슘 보충제 및 고칼슘 함유 섭취 부작용 (신부전증) 뼈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사람은 칼슘 보충제를 가정이나 학교 및 회사에 구비해둡니다. 또한 칼슘을 다량 함유한 음식 또한 우리 주위에 서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매일같이 많은 양의 우유, 치즈 및 멸치 종류의 칼슘 보조 음식을 섭취하거나 유명한 제약회사의 칼슘보충제와 비타민 D를 꾸준히 섭취해도 직접적으로 골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또한 과량의 칼슘 복용은 오히려 해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칼슘 섭취 시 주의해야 할 부분입니다. 앞서 언급했지만, 미국 심장전문의 토마스 레비 박사는 그의 저서“ Death by Calcium”에서 세포 내 과잉 칼슘은 인체에서 큰 부작용.. 2022. 5. 23.
일반적인 골다공증 치료제 종류 4가지 골다공증 치료제인 비스포스포네이트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로 이동해주세요. 2022.05.23 - [건강] - 골다공증약 비스포스포네이트의 부작용?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체 (SERMs) (에스트로젠 작용제/길항제) 선택적 에스트로젠 수용체 조절제 (SERMs)는 주로 폐경 이후 골다공증을 겪는 환자들에게 처방되는 약입니다. 폐경 이후 골다공증 환자의 경우 에스트로젠의 수치가 낮아져 파골세포에 의해 골 흡수가 일어나 뼈의 칼슘 유실이 발생하는데, 선택적 에스트로젠 수용체 조절제 (SERMs)의 경우 에스트로겐 과 같은 작용을 통해 골다공증을 예방합니다. 하지만, 유방암이나 자궁에 문제가 있다면 이 약을 처방받는 것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많은 연구 자료에 의하면 앞에 언급한 질병이 .. 2022. 5. 23.
골다공증약 비스포스포네이트의 부작용? 먼저 작성하였던 '골다공증의 정의'에 대한 포스팅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이번 포스팅은 골다공증의 치료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2.05.23 - [건강] - 골다공증은 무엇인가? 골다공증은 무엇인가? 골다공증의 정의, 골다공증과 칼슘과의 관계, 골다공증의 치료제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칼슘과 골다공증 i. 서론 골다공증은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질 tru-uty.com iii. 골다공증의 분류와 원인 골다공증은 두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는데, 제1형 골다공증과 제2형 골다공증으로 나누어집니다. 제1형 골다공증의 경우 폐경 이후 여성에게서 관찰되는데, 에스트로젠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제2형 골다공증의 경우 생식선 기능 저하증으로 주로 남성에.. 2022. 5. 23.
골다공증은 무엇인가? 골다공증의 정의, 골다공증과 칼슘과의 관계, 골다공증의 치료제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칼슘과 골다공증 i. 서론 골다공증은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질병입니다. 이에 따라 골다공증 관련해 많은 이슈가 쏟아져 나오며, 골다공증 치료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골다공증은 골밀도의 감소와 골질의 상태가 악화하면서 생기는 골격계 관련 질병입니다. 이 결과 대퇴부인 엉덩이, 척추, 손목, 갈비뼈 및 어깨의 골절 위험이 특히 커집니다. (Cooper, 1999) 골다공증의 특징으로는 낮은 골 질량과 골조직의 파괴로 인해 뼈 강도가 감소하며, 골절률이 증가하는 것입니다. (Liberman et al., 1995; Kanis, 2008; Baron & Hesse, 2012; Sz.. 2022. 5. 23.
류마티즘성 관절염의 증상 2022.05.22 - [건강] - 류마티스 관절염이란? 2. 관절 증상 류머티즘성 관절염은 계속된 활막의 염증으로 인해 관절이 파괴될 뿐 아니라 이에 따라 관절과 관절 주위 조직의 불가역적 손상을 유발하고, 더 나아가서 관절의 변형과 운동장애를 가져오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침범된 관절의 강직과 관절 사용의 장애를 보이고 침범된 관절을 만지게 되면 통증을 호소하며, 아픈 관절은 대게 부어 있습니다. 류머티즘성 관절염은 손, 손목, 무릎, 발, 발목 등의 관절을 침범하여 다양한 임상 양상을 나타냅니다. 1) 손목과 손 관절 손목 관절에 만성적 활막염을 유발하게 되고 관절낭과 인대 등의 관절 내 구조가 느슨하게 되면 관절의 변형이 초래됩니다. 손가락 관절에서는 중 수지와 근위하지 흔히 침범되고, 중수하지 손.. 2022. 5.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