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성인병

일반적인 골다공증 치료제 종류 4가지

by 트루티 2022. 5. 23.
반응형

골다공증 치료제인 비스포스포네이트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로 이동해주세요.

2022.05.23 - [건강] - 골다공증약 비스포스포네이트의 부작용?

 

골다공증치료제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체 (SERMs) (에스트로젠 작용제/길항제)

선택적 에스트로젠 수용체 조절제 (SERMs)는 주로 폐경 이후 골다공증을 겪는 환자들에게 처방되는 약입니다. 폐경 이후 골다공증 환자의 경우 에스트로젠의 수치가 낮아져 파골세포에 의해 골 흡수가 일어나 뼈의 칼슘 유실이 발생하는데, 선택적 에스트로젠 수용체 조절제 (SERMs)의 경우 에스트로겐 과 같은 작용을 통해 골다공증을 예방합니다. 하지만, 유방암이나 자궁에 문제가 있다면 이 약을 처방받는 것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많은 연구 자료에 의하면 앞에 언급한 질병이 있을 경우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SERMs) 의 부작용을 겪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SERMs) 또한 많은 종류가 있습니다. 그중 랄록시펜 (Raloxifene)이 폐경 이후 골다공증을 겪는 환자들에게 주로 처방되는 약입니다. 바제독시펜 (Bazedoxifene)과 라소폭시펜 (Lasofoxifene) 또한 주로 처방됩니다. 랄록시펜 (Raloxifene)은 낮아진 혈장 에스트로젠 수치를 높여주는 효과는 증명되었지만, 오래 복용할 시 자궁내막암이 걸릴 위험이 2~3배 높습니다. (Maximov, Lee & Jordan, 2013) 바제독시펜 (Bazedoxifene)의 경우 다리의 심부정맥에 생긴 혈전이 폐의 동맥까지 흘러 폐색을 일으키는 정맥 혈전 색전증이라는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커집니다. (Pickar & Komm, 2015) 에스트로젠 수용체 조절제 (SERMs)는 체내 혈장 에스트로젠 수치에만 작용하기 때문에 몸 전체 칼슘 항상성을 조절하지는 못합니다. 그러므로 폐경 이후 골 유실을 겪고 있는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법이 필요합니다. SAC 칼슘의 경우 폐경 이후 겪는 골다공증 환자들에게 적합한데, 소량의 칼슘으로 몸의 호르몬 작용을 유도하여 칼슘 항상성을 유지하면서, 혈장과 세포 내 칼슘 농도 유지를 도와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골밀도와 골질을 향상해 줄 수 있습니다.

 

테리파라타이드 (Teriparatide) (유전자 재조합 부갑상선 호르몬)

테리파라타이드는 유전자 재조합 부갑상선 호르몬 치료 약입니다. 테리파라타이드도 여러 종류가 있지만 그중 가장 잘 알려진 약은 아발로파라타이드 (Abaloparatide) 입니다. 골 생성을 도와주는 형성제로 작용하며, 부갑상선 호르몬의 일부와 동일합니다. 테리파라타이드는 간헐적으로 파골세포보다 조골세포를 더 활성화해 골 형성을 증가시킵니다. 하지만 테리파라타이드 역시 사지 통증, 메스꺼움, 현기증, 두통과 같은 부작용을 나타냅니다. (Rizzoli et al., 2011) 게다가, Bazaldua & Bruder (2004) 의 연구에 의하면 유전자 재조합 부갑상선 호르몬이 사람 대상으로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쥐의 실험에서 골육종을 일으킨다고 밝혀졌습니다. 비록 테리파라타이드가 사람이 복용할 시에 골육종이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는 없지만, 잠재적으로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은 환자들이 우려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파젯병, 골단개방, 알칼리성 인산 가수 분해 효소의 급작스러운 증가의 우려가 있거나, 혹은 뼈 관련 방사능 치료를 받는 환자의 경우 테리파라타이드를 복용 시 증상이 더 악화하므로 처방받지 않는 것을 권장합니다. (NOF, 2018) 기존의 다른 치료제들과는 다르게 테리파라타이드는 유전자 재조합을 통해 골 형성에 초점을 맞춘 약입니다. 그런데도 많은 부작용이 나타나면서 환자들이 복용을 꺼리며 주저합니다.

SAC 칼슘은 환자들이 걱정하는 부작용은 없을 뿐만 아니라, 소량의 칼슘 작용으로 갑상샘 호르몬과 파라토르몬의 작용을 유도합니다. 이를 통해 파라토르몬을 조절하여 불필요한 골 교체를 줄이고 적당한 골 교체를 통해 골질을 향상하고, 또한 갑상샘 호르몬을 통해 조골세포를 형성하여 골 형성에 도움을 주어 골다공증의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칼시토닌 (Calcitonin)

칼시토닌은 갑상샘의 방여포 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호르몬입니다. 칼시토닌은 파라토르몬과 반대로 혈장 칼슘 수치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Avioli, 1998) 일반적으로 처방되는 골다공증 치료제와는 확연히 다른 접근 방식의 치료법입니다. 칼시토닌은 제2형 골다공증 치료에 처방됩니다. 칼시토닌은 주로 파골세포의 작용을 저지시키며, 신장 내 세뇨관 세포들의 작용을 감소시켜 칼슘과 인의 재흡수를 막아 배설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Potts & Juppner, 2008) 하지만 혈중 칼시토닌의 농도가 높을 경우 소변을 통한 칼슘과 인의 배설량이 증가하여 저칼슘 일반적으로 처방되는 골다공증 치료제와는 혈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Carney, 1997) 게다가, 신장이 칼시토닌에 대한 내성이 생겨 칼슘 배설 기능이 비정상적으로 작동되는 것이, 칼시토닌을 과도하게 분비되는 갑상 칼슘이 빠져나올 때도 석회화를 일으킵니다. 선 종양을 가진 환자들로부터 증명되었습니다. (Goodman, 2009)

SAC 칼슘은 부작용이 없고 이온 칼슘에 의한 호르몬 조절을 통해 골다공증을 치료합니다. SAC 칼슘 복용이 골다공증을 부작용 없이 치료할 수 있는 유일한 치료법입니다. 동물 임상실험에서 SAC 칼슘 복용만으로 골다공증 쥐 혈액 내에서 17β-에스트라디올이 7.6%가 증가하였습니다.

 

비스포스포네이트 계열 골다공증 치료제 골밀도 증가 효과

비스포스포네이트 계열 골다공증 치료제의 골밀도 증가 효과에 있어서 대표적인 리세드로네이트, 알란드로네이트의 복용 효과를 살펴보면 1년에 약 1~2% 골밀도 증가 효과를 보입니다.

 

 

다음 포스팅은 칼슘 보충제 및 고칼슘 함유 음식 섭취 시 가져올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2022.05.23 - [건강] - 칼슘 과다 섭취 시 가져오는 부작용

 

 

 

2022.05.23 - [건강] - 골다공증은 무엇인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