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영유아 및 어린이

어린이 감기 증상 자세히 봐야 큰 질병 막을 수 있다.

by 트루티 2022. 6. 2.
반응형

어린이질병

 

"아이 감기 증상 자세히 봐야 큰 질병 막을 수 있다."

 

물고기 숲에서 출판한 ‘우리 아이 감기’ 책의 저자인 ‘니시무라 다쓰오’씨는 일본 나라현립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나라현립의과대학 소아과학 교실에서 임상 수련을 하였습니다.

하이바라 종합병원 소아과, 나라현립나라병원 소아과를 거쳐 1998년부터 니시무라 소아과를 개업하였습니다. 2004년 10월부터 환아 보육실”건강한 아이”, 2009년 4월부터 발달지원실” 미래”, 2015년 4월부터 소규모인가 보육원 “쓰쿠시”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약물남용과 과잉 치료가 없는 새로운 감기 진료를 목표로 출판된 ‘우리 아이 감기’라는 책은 소아과 의사뿐만 아니라 어린아이를 키우는 부모에게도 참고가 될만한 좋은 책입니다.

오늘 다루는 주제는 가벼운 감기 증상에서 발달하는 큰 질환에 대한 내용으로 초기 증상에서는 감기와 구분하기 어려워 놓치기 쉬운 질병을 다룹니다.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한 부분이라 부모님이 병을 알아차리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질환들이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전제하에 아이를 잘 관찰한다면 초기에 큰 질병을 막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소아과 의사는 더욱 아이의 질병을 면밀히 관찰하여 놓쳐서는 안 될 질병입니다.

 

놓치지 않았으면 하는 아이 질환

 

많은 아이가 감기 증상으로 진찰받지만, 그중에는 중대한 질병 위험을 안고 있는 케이스가 있습니다. 오랫동안 소아과 진료를 보는 의사는 아이의 감기를 진료하다 생명에 관련되거나 중대한 후유증을 남길 가능성도 있는 질병을 마주치게 됩니다.

 

세균성 수막염

세균성 수막염은 Hib 에 의한 것이 가장 많고, 생후 2개월까지의 영아에서는 분만으로 감염된 B군 연쇄구균(GBS)이나 대장균이 원인이 될 때가 많으며, 또 일본에서는 적지만 수막염균에 의한 것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일차진료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Hiv와 폐렴구균에 의한 세균성 수막염입니다. Hib 와 폐렴구균은 세균혈증의 원인이 되기 쉽고, 또 뇌척수액 안에 들어가서 세균성 수막염을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Hib와 폐렴구균 백신이 도입될 때까지는 일차진료에서도 수막염 환자를 진찰할 때가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의사는 병원에서 진료하던 시절에 세균성 수막염을 치료한 경험이 있을 겁니다. 병원인 경우에는 내원했을 때 고열과 의식장애, 구토, 경련 등의 증상을 볼 수 있었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일차진료라면 진찰할 때 병 초기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일은 적으며 “감기”로 진단될 때도 있습니다. 소아 진료를 오래 한 소아과 전문의도 진단을 내리지 못하니 일반 의사라면 더 어려울 것입니다.

수막염에서 중요한 것은 예방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출생 후 되도록 이른 시기부터 백신을 접종하도록 권해야 합니다.

 

급성 후두개염

급성 후두개염의 가장 큰 원인은 Hib 입니다. Hib 에 의한 세균혈증의 속발증으로, 무균수막염과 함께 생명에 위험을 미치는 질환입니다. 후두개는 성문 상부에 위치합니다. 급성 후두개염이 발생하면 후두개가 급격하게 붓기 때문에 질식할 위험이 있습니다. 발열, 인통, 삼킬 때의 통증 등이 초발 증상으로 많이 나타나지만, 그 후 몇 시간 동안 호흡곤란이나 천명이 나타납니다. 더 진행하면 질식에 이릅니다.

거짓크룹과 병태가 비교될 때가 있는데, 후두개염과 거짓크룹은 병변 부위가 비슷할 뿐 전혀 다른 질환입니다. 거짓크룹은 개 기침과 쉰 소리 증상이지만, 후두개염은 호흡곤란이 주 증상이 되며 전신 상태의 악화 및 고개를 뒤로 젖힌 채 입을 벌리는 특징적인 자세를 보입니다.

수막염과 마찬가지로 백신 덕분에 거의 마주칠 일이 없어졌지만, Hib 이외의 인플루엔자균이 원인이 될 때도 있으니 이 질환이 있음을 유념해야 합니다.

 

뇌염, 뇌 질환

뇌염, 뇌 질환은 연간 약 1,000례가 발생하며, 대부분의 원인은 바이러스 감염입니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가 25%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돌발피진의 원인 바이러스인 HHV-6 및 HHV-7, 로타바이러스, 유행성이하선염 바이러스, 미코플라스마도 뇌염, 뇌 질환을 유발합니다. 이러한 감염의 경과 중에 일반적인 상황과 다른 중추신경 증상이 나타나면 뇌염, 뇌 질환도 염두 해야 하겠습니다.

 

심근염

소아 심근염의 정확한 발생 빈도는 명확하지 않지만 뇌염, 뇌 질환의 몇분의 1이라 생각됩니다. 심근염은 대부분 감기 증상으로 시작되며, 그 후 몇 시간~며칠의 경과로 심장 증상이 나타납니다. 소아기 심근염 중에서도 40%를 차지하는 전격성 심근염이 특히 문제입니다.

바이러스 감염이 대부분인데, 특히 바이러스혈증을 일으키는 엔테로바이러스가 주요 원인이며, 이어서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파보바이러스 등도 들 수 있습니다. 원인 바이러스는 23%에서만 판명되는 것에 불과하고, 대부분은 원인불명인 것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심근염의 초기 증상은 비특이적으로 감기 증상인 단계에서 심근염을 예측하기란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심근염은 감염 케이스에서 늘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심장 음을 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불규칙한 리듬, 설명되지 않는 빠른맥 혹은 느린맥이 있으면 심근염을 의심해야 할 겁니다.

일본에서는 조기 진찰이 많기 때문에 위중한 심근염인 경우에는 문제가 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하지만 현대의학으로는 예방하기가 불가능하고, 비특이적인 증상밖에 없으면 조기 발견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