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에 걸린 아이를 두고 당황하지 않으려면 부모가 ‘감기’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일반적으로 감기의 자연 경과, 즉 약이 없이 진행되는 과정이 어떠한지 알아보겠습니다.
아이의 감기를 주제로 작성하였지만 성인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감기의 자연 경과
감기의 원인이 되는 것은 바이러스가 대부분이지만, 대부분의 발열은 1~3일 정도에 진정됩니다. 대로는 5일 정도 지속될 때도 있지만, 1주 이상이 되는 경우는 없습니다. 다만 일단 내려간 열이 다시 오르는 이정점 발열이 될 수도 있음에 주의해야 합니다.
발열이 있었던 뒤 시간이 약간 지나서 콧물이 납니다. 초기에는 사이토카인의 영향으로 혈관 투과성 항진에 의한 맑은 콧물입니다. 그 후 파괴된 바이러스와 세균 파편을 탐식 처리하기 위해 백혈구 성분이 많아지고 화농성으로 변화합니다.
줄줄 흐르는 듯한 맑은 콧물에서 끈적한 점성이 있는 노란 콧물로의 변화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기침이 생기는데 발열이나 콧물의 정점과는 대개 어긋납니다. 기침은 서서히 심해지고, 안 좋을 때는 밤에도 잠을 못 잘 정도로 기침합니다. 며칠이면 개선됩니다. 감기 중에서 가장 오래 끄는 증상이 기침인데, 몇 주~1개월 이상 지속될 때도 드물지 않습니다.
이처럼 감기에서 가장 초기부터 생기는 증상은 발열입니다. 또한 감기 증상은 모두 정점을 보인 뒤 며칠이면 개선됩니다. 이때 약을 먹으면 그 효과로 나았다고 착각하기 쉽습니다.
조기 감기 치료가 당연시되어서 감기의 자연 경과를 볼 일이 적은 것이 당연합니다. 예민한 부모님의 경우 발열이 생기기도 전에, 혹은 열이 갑자기 날 때 아이 진료를 보기도 합니다. 이럴 경우 그것이 감기 초기인지 다른 중증 감염인지 감별하기 쉽지 않습니다. 또 투약이나 의료 개입의 효과 여부를 판단하려면 감기의 자연 경과를 알아둬야 하지만, 이를 이해하지 않고 발열에 항생제를 투여하여 며칠 만에 해열되면 보호자뿐 아니라 의사도 약의 효과라고 생각해 버립니다.
사실 감기가 어떤 경과를 거쳐서 낫는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아무리 명의라도 열이 하루 만에 내릴지, 1주 동안 계속될지, 기침은 가볍게 해결될지, 심해질지 예측하기란 불가능합니다.
다만 한 가지 확실한 점은, 어떤 경과를 취하더라도 감기는 최종적으로 낫는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매번 하던 것처럼 ‘약’을 복용시키면, 감기가 자연히 낫는다는 아주 당연한 사실을 믿을 수 없게 됩니다. 아이는 몇 번이나 감기에 걸립니다. 자연히 낫는다는 인식이 없으면 감기에 걸릴 때마다 불안감이 커집니다. 부디 어떤 약도 먹이지 말고 아이의 감기 경과를 지켜봐 주세요. 그래도 괜찮고 결국에는 낫습니다. 감기니까요.
병원에서 진찰받는 목적은 ‘현재 증상이 위험한지 어떤지’의 판단을 의사에게 요청하기 위해서입니다. ‘감기약으로 치료받겠다’는 마음을 갖지 않는 쪽이 좋은 진료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감기일 때 의사의 조언은 필요하지만, 치료는 불필요하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보호자 스스로 감기를 고친 경험은 양육에 대한 자신감으로 이어집니다.
아이가 감기에 걸렸을 때 극히 드물지만 예측이 어려운 합병증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아이의 상태를 잘 봐 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앞서 말씀드렸던 것을 정리하면 감기의 일반적인 자연 경과 과정에서 발열이 38도 이상으로 지속되거나 발열이 멈추었는데 다시 시작되거나 아이의 상태가 평소보다 심각하게 좋지 않다고 판단될 때는 꼭 진찰을 받아보세요.
하지만 발열이 하룻밤 일어났다가 가라앉고 맑은 콧물로 시작하여 점성 있는 콧물과 재채기를 할 때, 아이의 컨디션이 콧물로 힘든 것 제외하고 일상적인 모습일 때는 진찰을 받아 항생제를 먹는 것 보다 가정에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게 하고 사랑을 주는 것이 낫습니다. 그렇게 약 없이도 자연스럽게 감기가 나아지는 것을 경험할 때 부모는 물론 아이도 감기에 대해 불안감을 가지지 않을 것입니다.
바이러스와 세균
바이러스와 세균이라는 말을 들으면 어쩐지 무서운 이미지가 연상됩니다.
아이를 가진 부모는 더욱이 그럴 것 같습니다. 물론 우리 몸속에는 몇 만 종류, 1,000조가 넘는 세균이 살고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세균과 달리 통상적인 현미경으로는 보이지 않으며 셀 수 없는데, 바닷물 한 방울 속에 1,000만개나 되는 바이러스가 있다고 합니다. 생물이 바닷물에서 태어났다는 것을 감안하면, 우리 몸속과 바깥에 무수한 바이러스가 있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럼에도 극히 일부 병원성을 보이는 것 외에는 그 존재조차 잘 모릅니다.
바이러스나 세균의 이미지가 안 좋은 것은 그저 정보가 편향되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최근의 코로나를 비롯해, 과거 사스나 메르스, 에볼라 바이러스 등의 부정적인 기사의 영향이 큰 것이지요.
하지만 평소 우리 몸에 살고 있는 ‘필요한’ 바이러스나 세균의 존재를 무시하고 있습니다.실제로 사람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없이는 살 수 없지요. 생물은 무수한 바이러스나 세균 속에서 일정한 질서를 유지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나 세균 중에서 병원성을 갖는 것은, 변이가 갑자기 반복되는 중에 이따금 사람의 몸에 ‘감염’되는 능력을 획득한 극히 얼마 안 되는 종류뿐입니다. 여기서는 아이의 감기에 관계되는 바이러스와 세균을 주제로 삼겠습니다.
다음에 작성될 '바이러스와 세균'의 글이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우리 아이를 위협하는 바이러스와 세균 종류
이전 포스팅에 이어 '바이러스와 세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오해하고 있는 부분과 아이에게 특별히 위험한 세균군, 그리고 아이에게 필요한 백신에 대하여 안내되어
tru-uty.com
'건강 > 영유아 및 어린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기 예방을 위한 생활 습관 7가지 (0) | 2022.05.28 |
---|---|
감기로 쌕쌕 그렁그렁 소리를 내는 천명 (0) | 2022.05.27 |
아이의 다양한 감기 증상 발열 콧물 기침 (0) | 2022.05.27 |
우리 아이를 위협하는 바이러스와 세균 종류 (0) | 2022.05.26 |
우리아이 감기에 대응하는 방법 (0) | 2022.05.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