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기항생제5

소아과병원에서 약 처방전에 꼭 알려야할 사항! 여러번에 걸쳐 아기에게 가정에서 올바르게 약을 복용하는 법과 사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전 포스팅이 궁금하신 분들은 [영유아 및 어린이]카테고리 글을 참고해주세요. 적은 양의 약이라도 체구가 작은 아이들에게는 큰 위험이 될 수 있습니다. 간혹 소아청소년과에서 의료사고가 일어나는 경우는 주사조제약의 용량을 잘못썼을 경우가 많습니다. 상비약이라고 무시하면 안됩니다. 모든 약은 지시사항에 맞게 사용해야 정말 약이 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독약입니다. 우리 아이들을 건강하게 키우려면 보호자는 기본적인 상식들을 공부하고 지켜야합니다.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하정훈 선생님의 조언을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의사의 지시 없이 약을 함부로 쓰면 안 돼 모든 약에는 정량이 있습니다. 약을 지나치게 사용하면 부작용이 심하게 나.. 2022. 9. 8.
아기감기약 해열제 함부로 먹이지 마세요! 약에 대한 필수상식 모음ZIP 아이가 아프면 초보엄마아빠는 모르는 것 투성이지요.간호는 어떻게 해줘야할지, 뭘 먹여야할지, 말도 잘 못하는 아가를 어떻게 잘 돌봐야할지요.그 중에 가장 걱정되던건 약먹이기였습니다.어른이면 상관없는 약의 용량이 아기에겐 용량을 지키지 않으면 큰일날 것만 같아서요.그래서 미리 약에 대한 복용법과 보관법, 우리가 놓칠 수 있는 부분들을 알아두면아이가 아프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착착 잘 돌봐줄 수 있겠죠? 본문의 내용은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선생님의 글을 옮긴 것입니다.내용에 대해 신뢰하셔도 좋습니다.저도 정말 많이 도움 받으면서 육아를 하는 것 같습니다.아기에게 기응환? 청심환 먹여도 되나?약 복용 시간 간격, 식전식후 복용?한약이 양약보다 좋을까?상비약은 늘 구비해두어야하나? 등등 글을 읽으면 다양한 궁금증이.. 2022. 9. 6.
아이 감기약 제대로 알고 먹여야 하는 이유 아이 감기에 대한 주제로 여러 포스팅을 올리면서 드는 생각은 ‘감기’라는 바이러스, 염증성 질환이 ‘코로나19와 닮았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아이 감기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치료하면 좋을까? 라는 고민에서 출발했던 생각은 ‘코로나’도 감기의 일종이니 아이가 걸리더라도 감기처럼 자연 치유가 가능하고 부모의 관심과 사랑으로 충분히 아이가 이겨낼 수 있겠다는 긍정적인 마음이 들었습니다. 오늘 공유할 내용은 감기 처방으로 받은 다양한 약제에 대해 다룹니다. 감기약을 남용하면 좋지 않다는 정도는 알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이 좋지 않은지 궁금하시다면 글을 꼭 읽어보시기를 바랍니다. 부모가 제대로 알지 못하면 아이를 올바르게 지도할 수 없을 것입니다. 가족의 건강을 위해 더욱 공부해야겠습니다. 감기약의 효과 항히스타.. 2022. 5. 31.
아기 감기에 항생제처방 정말 괜찮을까? 우리 아이의 감기에 대해 계속해서 글을 올리고 있습니다. 영유아기 아이는 면역력이 성인보다 완성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감기 따른 발열만 일어나도 부모의 마음을 두렵게 합니다. 영유아의 감기에 대해 부모가 먼저 제대로 알고 있어야 약물을 오용하지 않고 아이의 건강한 면역력 증진을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고 항생제를 처방하는 소아청소년과 진료 의사에게 인터넷에서 이런 글을 봤다며 무례하게 훈수를 두지는 않으셨으면 합니다. 감기라고 하는 것은 임상을 통해 경험하며 쌓인 정보를 토대로 진료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 아이를 어릴 때부터 오래 봐준 소아과 의사, 또 임상경험이 풍부한 의사를 찾는 것이 좋습니다. 감기와 항생제 감기에는 어떤 치료가 이루어질까요? 2009년 11월에 한 조사를 보면,.. 2022. 5. 30.
아이가 감기걸렸을때 언제 병원 가야할까? 감기에 걸린 아이를 두고 당황하지 않으려면 부모가 ‘감기’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일반적으로 감기의 자연 경과, 즉 약이 없이 진행되는 과정이 어떠한지 알아보겠습니다. 아이의 감기를 주제로 작성하였지만 성인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감기의 자연 경과 감기의 원인이 되는 것은 바이러스가 대부분이지만, 대부분의 발열은 1~3일 정도에 진정됩니다. 대로는 5일 정도 지속될 때도 있지만, 1주 이상이 되는 경우는 없습니다. 다만 일단 내려간 열이 다시 오르는 이정점 발열이 될 수도 있음에 주의해야 합니다. 발열이 있었던 뒤 시간이 약간 지나서 콧물이 납니다. 초기에는 사이토카인의 영향으로 혈관 투과성 항진에 의한 맑은 콧물입니다. 그 후 파괴된 바이러스와 세균 파편을 탐식 처리하기 위해 백혈구 .. 2022. 5.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