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한 날이 계속되면 더욱이 아기의 기저귀 발진이 잦아집니다.
피부가 연약한 아기들은 누구나 걸리기 쉬운 것이 기저귀 발진입니다.
포스팅 글을 읽고 나면 아이에게 기저귀 발진이 왜 생기는지, 어떻게 예방할 수 있는지, 적절한 치료와 대처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먼저 기저귀 발진에 대해 알아봅시다
기저귀를 사용하는 아기는 누구나 한 번쯤은 기저귀 발진이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아기가 설사할 때는 바로바로 기저귀를 갈아주기가 힘들어서 아기의 엉덩이가 푹 젖어 발갛게 익기도 합니다. 기저귀 발진은 제대로 치료하면 대부분 며칠 만에 좋아집니다. 하지만 피부가 약한 아기들은 기저귀 발진이 한번 생기면 오래가서 엄마와 아기를 괴롭히기도 합니다.
기저귀 발진은 왜 생기는 걸까요?
• 기저귀 발진은 젖은 기저귀를 빨리 갈아주지 않아서 생깁니다
젖은 기저귀는 아기의 피부를 무르게 만들어서 조금만 자극받아도 피부가 쉽게 손상됩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젖은 피부에 손상을 적게 주기 위해 윤활 성분을 입힌 기저귀가 개발되기도 했습니다. 소변을 본 기저귀를 오래 차고 있으면 습기 외에도 소변에서 만들어진 암모니아 같은 물질의 자극을 받아 피부가 붉어질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대변을 본 상태에서 기저귀를 오래 차고 있으면 대변에 들어 있는 소화 효소들이 아기의 약한 피부에 손상을 입혀 기저귀 발진이 잘 생깁니다. 이렇게 손상당한 피부에는 칸디다라는 곰팡이가 잘 자라는데, 곰팡이 때문에 생기는 기저귀 발진은 엉덩이보다는 주로 사타구니, 성기, 배 쪽에 잘 생깁니다.
• 특정 음식물을 먹어도 기저귀 발진이 생길 수 있습니다
과일을 과식하면 변이 산성이 되어 아기의 엉덩이를 발갛게 자극합니다. 특히 이유식 초기에 지나치게 많은 양의 과일을 먹이면 변 자체가 산성이 될 뿐 아니라 설사를 일으켜 기저귀 발진이 잘 생깁니다. 그리고 이유식을 하면서 새로운 음식을 첨가해갈 때 이유식의 원칙을 잘 지키지 않으면 변의 양상이 바뀌어 아기에게 기저귀 발진이 생기기 쉽습니다.
• 제대로 세탁되지 않은 기저귀도 발진을 유발합니다
천 기저귀를 사용하는 경우 세탁 후 기저귀에 남아 있는 세제나 표백제 등이 피부에 자극을 주어 염증이 생기기도 합니다. 천 기저귀는 잘 빨고 잘 헹구고 잘 말려야 합니다.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이 있는 아기는 자극에 민감하기 때문에 제대로 세탁되지 않은 기저귀를 사용하면 기저귀 발진이 생기기 쉽습니다.
기저귀 발진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 기저귀 발진 키 포인트!!
아기 엉덩이가 젖으면 잘 닦아주고 말리세요.
기저귀 발진용 연고를 바를 때는 그 위에 파우더를 뿌리지 마세요.
연고와 파우더 가 범벅이 되면 피부가 숨을 쉴 수 없어 아기의 상태가 더 나빠집니다.
• 기저귀를 바로 갈아주어야 합니다
기저귀 발진의 제일 중요한 예방법은 천 기저귀든 종이 기저귀든 기저귀가 젖으면 바로 갈아주
는 것입니다. 아기가 대소변을 본 후에는 물로 엉덩이를 깨끗이 씻어주고 비눗기가 남지 않도록 신경을 써야 합니다. 목욕 후 엉덩이에 피부 보호제를 발라주는 것도 좋습니다. 처음 아기를 키우느라 지친 새내기 엄마들은 간혹 밤새 아기 엉덩이가 변으로 범벅이 되어도 모른 채 콜콜 주무십니다. 밤에 기저귀를 갈아줄 자신이 없을 때는 천 기저귀보다는 흡수력이 좋은 종이 기저귀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차를 타고 장거리 여행을 떠날 때는 아기 엉덩이를 씻길 물이나 물휴지를 넉넉히 가지고 가는 것이 좋습니다.
• 통풍이 잘되도록 신경 쓰고, 기저귀를 자주 삶아줍니다
기저귀를 찬 부위에 공기가 잘 통하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오줌이 샐까 봐 아기의 엉덩이를 비닐 커버로 밀봉하다시피 꼭꼭 싸두면 엉덩이 피부가 숨을 쉴 수 없게 됩니다. 그리고 천 기저귀를 세탁할 때는 물로 충분히 헹궈 비눗기가 남지 않도록 하고 살균 소독이 되도록 자주 삶아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그리고 세탁 전에 기저귀를 물에 담가 두는 것은 세균이나 곰팡이가 자랄 수 있는 절호의 찬스를 만들어주게 되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 세탁을 철저히 할 수만 있다면 똥 기저귀에서 변을 털어낸 다음 물에 담가 두어도 좋습니다. 담가두면 세탁이 편합니다.
• 기저귀는 햇볕에 자주 말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저귀는 햇볕에 완전히 말려야 살균이 됩니다. 같은 햇볕이라도 유리창을 통과한 햇볕에는 살균에 필요한 자외선이 거의 없기 때문에 직접 내리쬐는 햇볕에 말려야 합니다. 장마철이라 기저귀가 잘 마르지 않을 때는 전열기나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해 말려도 괜찮습니다. 빨래 건조기를 사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기저귀 발진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 대소변을 본 후에는 엉덩이를 잘 씻어주고 잘 말려야 합니다
아기의 엉덩이를 씻은 다음 말리기가 힘들면 헤어드라이어기를 이용해도 좋습니다. 하지만 헤어드라이어기를 너무 가까이 대 아기의 엉덩이를 구워 먹지 않게 주의해야 합니다. 헤어드라이어기를 찬 바람이 나오도록 해서 사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기저귀 발진 치료는 이렇게!!
기저귀 발진의 치료는 자주 갈아주고, 잘 말리고, 미지근한 물로 충분히 씻고, 대변 봐서 지저분하면 도브 비누처럼 부드러운 비누를 사용한 후 말려주세요. 잘 낫지 않으면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고, 엉덩이가 심하게 헐어서 아픈 경우는 베이킹소다 한 숟가락을 물 한 대야에 녹여서 좌욕을 시켜주는 것이 아픈 것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심하게 한 경우에는 바로 소아청소년과에서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설사 때문에 생긴 기저귀 발진은 물로 잘 씻은 후에 산화아연(Zinc oxide) 함유 크림, 비판텐 크림 같은 것을 바르면 도움이 됩니다.
• 증상이 심하면 일정 시간 기저귀를 안 채우는 것이 좋습니다
기저귀 발진이 생기면 기저귀를 채우지 않는 것이 좋은데, 쉬운 일이 아닙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그대로 채워두는 것도 괜찮습니다. 그러나 엉덩이 짓무름이 심한 경우는 하루에 몇 시간씩 엉덩이를 벗겨 두는 것이 좋습니다. 따뜻한 방에서 얇은 이불 위에 옷을 입힌 채 엉덩이만 내놓고 밑에는 기저귀를 깔아 놀게 합니다.
• 반드시 의사의 처방을 받은 연고를 사용해야 합니다
기저귀 발진이 심하거나 며칠이 지나도록 나아지지 않고 아기가 아파하는 것 같으면 소아과 의사와 상의하세요. 심한 경우는 의사의 처방을 받아 연고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흔히 바르는 피부 보호 로션류는 적극적인 치료 효과가 작습니다. 기저귀 발진의 원인은 한 가지가 아니
마로 연고를 함부로 사용하면 안 됩니다. 곰팡이가 원인인 경우는 흔히 바르는 기저귀 발진용 연고를 바르면 더 심해질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엄마는 기저귀 발진과 다른 피부질환을 혼동할 수도 있으므로 반드시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 아기의 상태에 맞는 적절한 연고를 처방받아 사용해야 합니다.
연고제를 바를 때, 이런 점에 주의하세요.
• 전에 바르던 연고를 함부로 바르면 안 됩니다
아기의 엉덩이가 발갛게 익으면 엄마들은 기저귀 발진이라고 굳게 믿고 전에 바르던 연고를 또 바릅니다. 심지어 아기가 농가진에 걸렸는데도 그런 줄도 모르고 기저귀 발진용 연고를 바르다가 병을 악화시켜 아기를 고생시키는 엄마도 있습니다. 그러나 아기 엉덩이가 발갛게 익는 원인에는 기저귀 발진 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으며, 같은 기거 쥐 발진이라 해도 곰팡이가 원인인 경우에는 보통 때 바르는 기저귀 발진 연고와 좀 다른 연고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저라면 기저귀 발진에 절대 사용하지 않을 연고인데도 기저귀 발진에 사용할 수 있다고 적혀 있어서 팔리는 것이 있습니다. 약은 반드시 소아과 의사의 진찰을 받고 처방받아서 사용하십시오.
• 연고를 바른 위에 함부로 분을 바르면 안 됩니다
아기가 기저귀 발진에 걸렸을 때 엄마들이 저지르기 쉬운 실수가 연고를 바르고 그 위에 분을 듬뿍 뿌려 두는 것입니다. 이렇게 연고를 바른 뒤 분을 뿌려두면 피부가 숨을 쉴 수 없어서 증상이 더 심해지고 잘 낫지도 않습니다. 연고를 바른 다음 그 위의 분을 뿌리지 마세요. 땀이나 오줌에 범벅이 된 분이 아기의 피부에 붙어 있으면 절대 안 됩니다.
*기저귀 채울 때, 이것도 알아두세요!!
기저귀를 고정할 때는 가능하면 안전핀이나 기저귀 커버를 사용하세요. 흔히 사용하는 고무줄은 아기의 배를 조일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배가 조여도 아기는 조인다고 말할 수 없으니까요.
*기저귀 발진은 크게 두 종류!
스테로이드 연고를 사용하는 습진 종류와 항진균 연고를 사용하는 곰팡이 감염 두 종류가 있는데 치료가 다르답니다.
'건강 > 영유아 및 어린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의 변비의 원인과 증상 총정리 (0) | 2022.07.04 |
---|---|
신생아 배꼽 염증없이 집에서 쉽게 떼기 (0) | 2022.07.03 |
아이가 경련할때 대처방법 (0) | 2022.06.27 |
우리 아이 감기 빠르게 낫는 방법은? (0) | 2022.06.03 |
아이를 위한 감기 진료? 좋은 소아과 의사는? (0) | 2022.06.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