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7 스트레스가 몸에 나쁜 영향을 주는 이유 스트레스가 모든 질병의 원인! 저번 포스팅에서 스트레스와 자율신경에 대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스트레스가 교감신경에 어떤 영향을 주어서 질병이 일어나는지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어깨 결림이 왜 질병의 신호가 되는지, 소염진통제가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는지 다루겠습니다. 스트레스는 왜 몸에 나쁜 영향을 줄까? 이유 없이 아파서 병원에 가면 하나같이 똑같은 대답이 돌아오지 않으셨나요? “스트레스 때문입니다.” 혹은 “스트레스는 몸에 좋지 않습니다.” 라는 답변이요. 그러나 스트레스가 어떤 메커니즘으로 신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지, 어떻게 하여 면역 활동을 저하하는지 등의 궁금증을 해결해주는 의사는 없었던 것 같습니다. 그것은 스트레스와 질병의 관계에서 정확한 메커니즘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 2022. 6. 6. 우리 몸에 질병이 왜 생기는 걸까? 모든 질병의 근원은 스트레스입니다. 스트레스와 자율신경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어떤 문제를 일으켜서 몸에 질병을 가져오는지, 또 어떻게 하면 건강함을 유지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감기 때문에 발생하는 콧물은 림프구가 바이러스와 싸우기 때문에 내는, 분비를 수반하는 카타르성 염증입니다. 그 염증이 낫게 되면 젤리 모양이나 끈적끈적한 황색 콧물로 바뀝니다. 이것은 과립구가 이물질을 처리하여 화농성 염증으로 바뀐 결과입니다. 이 과립구와 림프구를 지배하고 있는 것이 자율신경입니다. 먼저 ‘자율신경’의 정의에 대해 더 알아보겠습니다. 이름은 대뇌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지 않는다는 의미로 붙여진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는 시상하부와 그 밖의 여러 중추신경의 지배를 받아 어느 정도 의식적인 조절이 가능합니다. 자.. 2022. 6. 5. 우리 아이 감기 빠르게 낫는 방법은? 이제까지 니시무라 다쓰오 씨의 칼럼을 여러 편으로 나누어 우리 아이 감기에 대해 어떤 정보를 알아두어야 하는지, 부모로서 어떤 마음가짐을 가져야 하는지, 다양한 감기 바이러스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러면 아이 감기를 잘 치료해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감기를 빠르게 낫게 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감기에 자주 걸려 병원을 빈번하게 다니는 아이의 부모님과 소아과 진료를 하는 의사는 이것을 꼭 알아야 합니다. 지금까지 감기에 듣는 약은 없다고 반복해서 말씀드렸는데요. 그중에서 유일하게 감기를 빨리 고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위 그래프는 성인의 데이터입니다. 두 가지 나누어진 군은 서로 다른 점이 무엇일까요? 그것은 담당한 의사가 순수하게 공감한다고 환자가 느끼는지 여부입니다. 환자가 의사의 공감.. 2022. 6. 3. 아이를 위한 감기 진료? 좋은 소아과 의사는? 소아 의료의 주인공은 아이입니다. 소아 의료는 보호자와 의사가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최대 이익을 위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아이의 관점을 중심으로 두 가지 감기 치료 사례를 예로 들어 봤습니다. 과연 아이를 위한 치료, 아이를 위한 선택은 어떤 것일까요? 부모님이라면 꼭 아이를 위한 선택을 하셔야 합니다. 아이를 진정으로 생각하는 굿 닥터를 찾을 수 있어야 합니다. 4세 아이와 엄마가 아이의 감기를 치료하는 두 가지 과정 주인공인 예리, 아침부터 힘차게 유치원에 갔습니다. 집에 돌아왔을 때, 머리가 약간 아팠습니다. 엄마에게 “머리가 아파요~”라고 말했습니다. 엄마: (이마에 손을 대고) 감기인가? 열도 없고, 괜찮은데? 다음 날 아침 일어났더니 목구멍이 아픕니다. 코가 막히고 목이 따끔따끔하.. 2022. 6. 2. 어린이 감기 증상 자세히 봐야 큰 질병 막을 수 있다. "아이 감기 증상 자세히 봐야 큰 질병 막을 수 있다." 물고기 숲에서 출판한 ‘우리 아이 감기’ 책의 저자인 ‘니시무라 다쓰오’씨는 일본 나라현립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나라현립의과대학 소아과학 교실에서 임상 수련을 하였습니다. 하이바라 종합병원 소아과, 나라현립나라병원 소아과를 거쳐 1998년부터 니시무라 소아과를 개업하였습니다. 2004년 10월부터 환아 보육실”건강한 아이”, 2009년 4월부터 발달지원실” 미래”, 2015년 4월부터 소규모인가 보육원 “쓰쿠시”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약물남용과 과잉 치료가 없는 새로운 감기 진료를 목표로 출판된 ‘우리 아이 감기’라는 책은 소아과 의사뿐만 아니라 어린아이를 키우는 부모에게도 참고가 될만한 좋은 책입니다. 오늘 다루는 주제는 가벼운 감기 증상.. 2022. 6. 2. 아이 감기약 제대로 알고 먹여야 하는 이유 아이 감기에 대한 주제로 여러 포스팅을 올리면서 드는 생각은 ‘감기’라는 바이러스, 염증성 질환이 ‘코로나19와 닮았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아이 감기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치료하면 좋을까? 라는 고민에서 출발했던 생각은 ‘코로나’도 감기의 일종이니 아이가 걸리더라도 감기처럼 자연 치유가 가능하고 부모의 관심과 사랑으로 충분히 아이가 이겨낼 수 있겠다는 긍정적인 마음이 들었습니다. 오늘 공유할 내용은 감기 처방으로 받은 다양한 약제에 대해 다룹니다. 감기약을 남용하면 좋지 않다는 정도는 알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이 좋지 않은지 궁금하시다면 글을 꼭 읽어보시기를 바랍니다. 부모가 제대로 알지 못하면 아이를 올바르게 지도할 수 없을 것입니다. 가족의 건강을 위해 더욱 공부해야겠습니다. 감기약의 효과 항히스타.. 2022. 5. 31.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