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7 아기의 변비의 원인과 증상 총정리 변비의 원인과 증상 변을 볼 때 힘들어하면서 얼굴이 빨개지는 것을 변비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변을 오랫동안 못 보거나 딱딱한 변을 볼 때 변비라고 말합니다. 물론 두 가지 증상이 한꺼번에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변비는 제가 이렇게 쉽게 이야기는 하고 있지만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서 힘들어하는 아이를 보고 있는 부모들은 가슴이 탑니다. 엄마도 같이 변비에 걸린 것처럼 힘들어하는 것이 아이들의 변비입니다. 변을 볼 때 아프기도 하고 변을 보는 데 시간이 엄청나게 걸리기도 합니다. 변비로 딱딱한 변이 배 속에 차 있을 때는 변비가 있는 중에 물변을 팬티에 지리기도 합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변비가 아주 심한 경우는 딱딱한 변을 며칠 간격으로 보고 그 중간중간에 물변을 누기도 합니다. 변비는 왜 생기는 걸.. 2022. 7. 4. 신생아 배꼽 염증없이 집에서 쉽게 떼기 요즘은 신생아가 병원에서 나와 엄마와 조리원으로 바로 입실하게 되므로 가정에서 배꼽을 떼는 경우는 드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영향으로 조리원에 가지 않는 가정도 있으니 신생아 배꼽에 대해 궁금한 점을 옮겨보았습니다. 첫 출산으로 신생아를 마주한다면 하나부터 열까지 알 수가 없어 소위 멘붕 상태에 빠지게 되는 것이 당연합니다. 부모가 아이를 사랑하고 공부하면서 케어 해나간다면 아기는 건강하게 자랄 것입니다. 그럼 신생아 배꼽을 어떻게 떼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배꼽은 저절로 떨어질 때까지 그냥 두십시오 • 아기가 바깥세상으로 나오면 더 이상 탯줄은 필요 없습니다 탯줄은 아기가 엄마 배 속에 있을 때 영양을 공급받고 노폐물을 배설하던 통로, 즉 생명줄이었습니다. 그러나 아기가 엄마 뱃속에서.. 2022. 7. 3. 기저귀 발진 빠르게 대처하기 A to Z 습한 날이 계속되면 더욱이 아기의 기저귀 발진이 잦아집니다. 피부가 연약한 아기들은 누구나 걸리기 쉬운 것이 기저귀 발진입니다. 포스팅 글을 읽고 나면 아이에게 기저귀 발진이 왜 생기는지, 어떻게 예방할 수 있는지, 적절한 치료와 대처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먼저 기저귀 발진에 대해 알아봅시다 기저귀를 사용하는 아기는 누구나 한 번쯤은 기저귀 발진이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아기가 설사할 때는 바로바로 기저귀를 갈아주기가 힘들어서 아기의 엉덩이가 푹 젖어 발갛게 익기도 합니다. 기저귀 발진은 제대로 치료하면 대부분 며칠 만에 좋아집니다. 하지만 피부가 약한 아기들은 기저귀 발진이 한번 생기면 오래가서 엄마와 아기를 괴롭히기도 합니다. 기저귀 발진은 왜 생기는 걸까요? • 기저귀 발진은 젖.. 2022. 7. 1. 아이가 경련할때 대처방법 아이가 경련하면 경련은 흔히 경기라고도 불리는데, 아이가 의식을 잃고 몸의 일부가 이상한 움직임을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경련은 특별한 이유 없이 생기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일부 경련은 두고두고 반복되는 경련성 질환 때문에 생길 수도 있습니다. 흔히 경련성 질환 하면 간질을 떠올리는데, 경련성 질환은 엄청나게 많습니다. 다행히 아이들이 하는 대부분의 경련은 열이 심해서 나타나는 열성 경련입니다. 열이 있을 때 경련을 하는 것과 열이 없을 때 경련을 하는 것은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열이 없을 때 하는 경련은 문제가 있습니다 열이 없을 때 경련한다면 뭔가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런 경우는 경련성 질환이나 뇌의 손상, 몸의 전해질에 이상이 생겼을 수 있습니다. 당뇨가 있던 아이라면 저혈당이 생겼.. 2022. 6. 27. 몸속에 콜라겐 없으면 이렇게 된다고?? 콜라겐이 무엇일까? 콜라겐이라는 단어는 광고나 일상에서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콜라겐은 피부에 좋은 것인가? 다이어트에 좋은 것인가? 사실 정확하게 콜라겐의 정의에 대해 모르시는 분들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콜라겐은 필수 영양소 중 하나인 단백질입니다. 피부는 물론이고 콜라겐은 혈관 벽, 근육, 인대, 힘줄, 뼈를 구성하는 성분 중에 하나입니다. 전신에 콜라겐이 구성요소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지요. 콜라겐이 내 몸에서 없어진다면 마치 물풍선에 구멍이 나서 물이 빠져나간 후 쭈글쭈글한 풍선이 남는 것처럼 몸의 바깥은 물론이고 내부도 탄력을 잃게 됩니다. 콜라겐을 빠져나가지 않게 할 수 있을까요? 불가능합니다. 콜라겐은 20대부터 사라지기 시작하고 25세 전후로는 콜라겐을 합성하기보다 콜라겐을 파괴하는 쪽이.. 2022. 6. 24. 과한 운동은 빨리 늙게 만든다? 운동은 지치지 않을 만큼 적당히! 느리게 하는 운동 선택하기 유산소 운동은 노화 방지의 기본 요소 중 하나입니다. 숨을 헉헉 몰아쉬지 않을 정도로 심장이 너무 빨리 뛰지 않는 선에서 운동의 강도를 조절하도록 합니다. 미토콘드리아를 단련하는 유산소 운동으로 가장 추천할 만한 것은 요가입니다. 요가를 추천하는 이유는 정해진 자세를 취하면서 유산소 활동을 하는 내부 근육을 긴장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뿐 아니라 심호흡하면서 움직이므로 산소를 충분히 흡입할 수 있습니다. 내부 근육은 겉으로는 보이지 않는 근육으로 요가나 필라테스 같은 운동에서 특히 중요하게 다루는 부분입니다. 내부 근육이라는 명칭만 봐도 눈에 보이지 않는 인체의 중심부에 있는 근육임을 알 수 있습니다. 내부 근육은 순발력이 있어야 하는 동작.. 2022. 6. 23.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