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97 다이어트에 반복해서 실패하는 진짜 이유! “식사량을 줄이시고, 운동하세요. 체중이 더 늘어나면 더 아파집니다.” 의사 선생님께 이런 피드백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내과는 물론 허리나 발목, 무릎이 아파서 간 정형외과에서도 이런 조언을 들으신 경우가 많으실 겁니다. 이것은 사실이지요. 하지만 몰라서 못 하는 게 아니라는 것도 현실입니다. 각종 성인병을 일으키는 주범, 비만에서 시작됩니다. 무조건 “그만 먹어야 해!, 운동해야 해!”로 시작하기보다 비만의 원인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비만을 보다 건강하게 정복해봅시다. 비만의 원인을 찾아보자.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에 반드시 언급되는 것이 비만 대책입니다. 비만한 사람은 중성지방이나 콜레스테롤의 수치가 높아서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통풍, 심장병, 간질환 등 모든 성인병이 비만만 해소되면 낫는다.. 2022. 6. 8. 체온이 낮으면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다? 저체온이 만병의 근원이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사람의 죽음은 보통 체온이 낮아져 차가워졌을 경우 판별합니다. 의학적으로는 뇌사나 심장 정지가 죽음의 판정 기준이지만, 일반 사람들은 체온이 느껴지지 않을 때 생명이 없다고 판단하지요. 이렇듯 생명과 체온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지만, 살아 있는 동안에는 일부러 의식하지 않더라도 체온은 늘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으므로 많은 사람이 체온 유지에 신경을 쓰지 않는 것 같습니다. 자율적으로 체온이 유지된다는 점이 새삼 감사하게 생각됩니다. 우리 몸의 체온은 높아도 문제, 낮아도 문제인데요. 이런 체온을 우리 몸에서 일정하게 유지하게 시켜 주는 기관은 어디일까요? 이 체온을 조절하고 있는 것은 자율신경입니다. 교감신경이 어느 정도 자극되고 있는 상태는 혈류의 순.. 2022. 6. 8. 스트레스가 몸에 나쁜 영향을 주는 이유 스트레스가 모든 질병의 원인! 저번 포스팅에서 스트레스와 자율신경에 대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스트레스가 교감신경에 어떤 영향을 주어서 질병이 일어나는지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어깨 결림이 왜 질병의 신호가 되는지, 소염진통제가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는지 다루겠습니다. 스트레스는 왜 몸에 나쁜 영향을 줄까? 이유 없이 아파서 병원에 가면 하나같이 똑같은 대답이 돌아오지 않으셨나요? “스트레스 때문입니다.” 혹은 “스트레스는 몸에 좋지 않습니다.” 라는 답변이요. 그러나 스트레스가 어떤 메커니즘으로 신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지, 어떻게 하여 면역 활동을 저하하는지 등의 궁금증을 해결해주는 의사는 없었던 것 같습니다. 그것은 스트레스와 질병의 관계에서 정확한 메커니즘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 2022. 6. 6. 우리 몸에 질병이 왜 생기는 걸까? 모든 질병의 근원은 스트레스입니다. 스트레스와 자율신경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어떤 문제를 일으켜서 몸에 질병을 가져오는지, 또 어떻게 하면 건강함을 유지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감기 때문에 발생하는 콧물은 림프구가 바이러스와 싸우기 때문에 내는, 분비를 수반하는 카타르성 염증입니다. 그 염증이 낫게 되면 젤리 모양이나 끈적끈적한 황색 콧물로 바뀝니다. 이것은 과립구가 이물질을 처리하여 화농성 염증으로 바뀐 결과입니다. 이 과립구와 림프구를 지배하고 있는 것이 자율신경입니다. 먼저 ‘자율신경’의 정의에 대해 더 알아보겠습니다. 이름은 대뇌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지 않는다는 의미로 붙여진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는 시상하부와 그 밖의 여러 중추신경의 지배를 받아 어느 정도 의식적인 조절이 가능합니다. 자.. 2022. 6. 5. 우리 아이 감기 빠르게 낫는 방법은? 이제까지 니시무라 다쓰오 씨의 칼럼을 여러 편으로 나누어 우리 아이 감기에 대해 어떤 정보를 알아두어야 하는지, 부모로서 어떤 마음가짐을 가져야 하는지, 다양한 감기 바이러스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러면 아이 감기를 잘 치료해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감기를 빠르게 낫게 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감기에 자주 걸려 병원을 빈번하게 다니는 아이의 부모님과 소아과 진료를 하는 의사는 이것을 꼭 알아야 합니다. 지금까지 감기에 듣는 약은 없다고 반복해서 말씀드렸는데요. 그중에서 유일하게 감기를 빨리 고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위 그래프는 성인의 데이터입니다. 두 가지 나누어진 군은 서로 다른 점이 무엇일까요? 그것은 담당한 의사가 순수하게 공감한다고 환자가 느끼는지 여부입니다. 환자가 의사의 공감.. 2022. 6. 3. 아이를 위한 감기 진료? 좋은 소아과 의사는? 소아 의료의 주인공은 아이입니다. 소아 의료는 보호자와 의사가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최대 이익을 위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아이의 관점을 중심으로 두 가지 감기 치료 사례를 예로 들어 봤습니다. 과연 아이를 위한 치료, 아이를 위한 선택은 어떤 것일까요? 부모님이라면 꼭 아이를 위한 선택을 하셔야 합니다. 아이를 진정으로 생각하는 굿 닥터를 찾을 수 있어야 합니다. 4세 아이와 엄마가 아이의 감기를 치료하는 두 가지 과정 주인공인 예리, 아침부터 힘차게 유치원에 갔습니다. 집에 돌아왔을 때, 머리가 약간 아팠습니다. 엄마에게 “머리가 아파요~”라고 말했습니다. 엄마: (이마에 손을 대고) 감기인가? 열도 없고, 괜찮은데? 다음 날 아침 일어났더니 목구멍이 아픕니다. 코가 막히고 목이 따끔따끔하.. 2022. 6. 2.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