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영유아 및 어린이

신생아 영유아 침대에서 떨어졌을때 대처방법

by 트루티 2022. 8. 17.
반응형

 

아이가 높은 곳에서 떨어졌을

 아이를 키우다보면 뒤집기를 하는 시기에 한번쯤은 꼭 겪게 되는 일입니다.

그냥 누워만 있던 아기가 뒤집을 것이라는 것을 부모는 생각치 못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되도록 아기 혼자 높은 곳에 있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미 떨어져버린 경우 올바른 대처가 필요합니다.

어린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꼭 숙지하셔야 하는 부분입니다.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하정훈 선생님의 글이므로 신뢰하셔도 됩니다.

 

아주 어린 아기 뿐만아니라 어린이, 어른의 경우에도 대처방법은 동일합니다.

모두 안전사고에 유의하며 빠르게 대처하여 후에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길 바랍니다.

 

신생아낙상
낙상사고
높은데서 떨어짐

 

침대에서 떨어진 아이

침대에서 떨어졌더라도 대개의 경우는 문제가 없습니다만

간혹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도 있으므로 아기를 절대로 침대에 올려두지 마시기 바랍니다.

만약 아기가 침대에서 떨어졌을 다른 이상이 없다면 두고 보실 있습니다.

만일 이마가 부었으면 찬물 찜질이나 얼음찜질을 20 정도 해주십시오. 이때 아기가 아파한

다고 기응환이나 청심환, 타이레놀 같은 약을 먹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합니다.

그리고 한바탕 울고 후에 아기가 잠을 자는 경우가 많은데, 다른 문제가 없다면 2시간 정도 잠을 자게 내버려 두실 있습니다.

이때는 엄마가 옆에서 아기를 관찰해야 합니다.

 

 

2시간 정도 잠을 재운 후에는 아기를 깨워서 의식이 제대로 있는지, 걷는지, 아니면 다른 문제는 없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심하게 떨어진 아기의 경우는 머리의 손상 때문에 응급조치가 필요할 수도 있기 때문에 2시간 정도는 물만 먹이고 다른 음식을 먹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당장은 멀쩡해 보여도 72시간 사이에 서서히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상한 증상이 발생하면 바로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특히 머리를 심하게 부딪히고 외상이 생긴 경우에는 이틀 정도 신경 써서 관찰해야 하며, 자기 전에 한번 확인하고 잠든 4시간 정도 지난 후에 깨워서 이상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드물지만 침대에서 떨어진 아기의 머리뼈에 금이 가서 입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뒤집을 있는 아기를 어른 침대에 혼자 눕혀두는 것은 정말로 위험한 일입니다.

혹시 어른과 함께 침대생활을 해야만 하는 경우는 불편하시더라도 침대가드를 꼭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침대 주변의 바닥은 푹신한 매트나 러그를 깔아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 떨어졌을 응급실 가야 하는 경우!!

1.침대에서 떨어진 아기가 깨워도 깨지 않거나, 의식을 잃었거나, 의식이 흐려지거나, 엄마를 몰라보는 경우

2.떨어진 갑자기 말을 잘하지 못하거나, 눈이 보유하거나, 물체가 개로 보인다고 하는 경우

3.경련하거나, 갑자기 분수처럼 심하게 토하거나, 3 이상 토를 하는 경우

4.목이 아프다고 하거나 목이나 몸을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

5.떨어진 아이가 10 이상 울음을 멈추지 않거나, 심한 두통을 호소하거나, 두통이 점점 해지는 경우

6.떨어진 아이가 외상을 입어서 상처를 치료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하정훈 선생님의 영상을 첨부합니다]

 

아이가 침대에서 떨어졌을 약을 함부로 먹이지 마세요

아이가 심하게 떨어졌을 놀랐을까 기응환이나 청심환 등을 먹이는 분이 있습니다.

그러나 아이가 심하게 떨어진 같을 때는 아무것도 먹여서는 됩니다.

심지어는 물도 됩니다. 아이가 심하게 떨어졌을 진정 작용하는 약을 먹이면 증상의 발견이 늦어질 수도 있으므로 절대 먹이면 됩니다.

뇌출혈이 생겼을 약을 먹이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이 되고, 특히 뇌출혈이 서서히 진행되는 경우에 기응환이나 청심환을 먹이면 증상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진단이 늦어져 아이의 뇌에 손상을 초래할 있습니다.

엄마의 느낌상 아이가 이상한 같으면 바로 동네 소아청소년과를 방문해서 의사에게 보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떨어지면 위험한 경우도 있습니다

•떨어졌을 주변에 위험한 물건이 있으면 됩니다

침대 위에서 떨어지는 것은 그나마 괜찮은 편입니다.

간혹 책꽂이를 타고 올라가다가 떨어지는 아이도 있습니다.

이때 아이가 떨어지면서 책이나 책꽂이와 함께 넘어지면 심하게 다칠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아이가 책꽂이 등산을 자주 한다면 책꽂이를 아예 벽에 고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파 꼭대기에 올라가서 놀다가 미끄러져 떨어지는 아이도 있는데, 소파 주변의 딱딱하고 뾰족한 물건들을 미리 치워두어야 아이가 떨어지더라도 외상을 적게 입습니다.

보행기

*보행기 사용할 계단에서 구르지 않도록!!

미국 소아과학회에서는 보행기 사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보행기를 아이들은 행동이 빨라지고 행동반경이 넓어지는 데다가 아이들의 손이 닿는 높이가 갑자기 높아져서 안전사고가 일어나기 쉽습니다.

특히 가장 위험한 것은 계단에서 구르는 것입니다.

이층집이나 아파트에 사는 경우 현관에서 굴러 콧등이 깨지는 아이들이 아주 많습니다.

화장대에 가서 화장품을 집어먹기도 하고 세워둔 옷걸이를 당겨 얼굴 쪽으로 넘어뜨려 다치기도 합니다.

이때 눈이라도 찔리면 큰일이겠지요 간혹 식탁보를 잡아당겨서 뜨거운 국물에 화상을 입는 아이도 있습니다.

보행기를 타면 전에는 생각지도 못한 곳까지 아이의 손이 닿는다는 사실을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현관이나 베란다, 계단은 특히 조심하십시오

이층집에 산다면 아이 혼자서 계단 근처에 가지 못하게 하십시오.

계단에서 굴러 떨어져 병원을 찾는 아이들이 심심찮게 있습니다.

현관 턱에 걸려 넘어져 다치는 아이도 있는데, 특히 보행기를 타다 사고가 나는 경우가 아주 흔합니다.

현관에는 아이들이 접근하지 못하게 하고, 현관문은 닫아두어야 합니다.

문이 열려 있어 어린아이 혼자 밖으로 나가면 매우 위험합니다.

혹시 베란다에 아이가 딛고 올라갈 만한 것을 두었다면 지금 당장 치우십시오.

아이가 베란다를 타고 넘어가서 밖으로 떨어질 수도 있으니까요.

이층 침대는 아이가 올라가지 못하도록 사다리를 천으로 싸두거나 아예 치우는 것도

법이 있습니다.

되도록 7 이하의 어린아이는 이층 침대 위에 재우지 않는 편이 좋습니다.

그리고 안전대를 수시로 점검해서 안전한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실내에서 그네를 태울 때는 떨어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실내에서 그네를 타다가 다치는 아이들도 생각보다 많습니다.

어린아이들은 몸의 중심을 잡지 못하고 손의 힘이 약하기 때문에 그네를 타다 떨어져 다치기가 쉽습니다.

뇌진탕이 생기기도 하고 뼈나 이가 부러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이를 그네에 태우기 전에 그네가 완전히 고정되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간혹 방문에 고정장치 없이 양쪽으로 압력을 가해 걸쳐놓는 그네를 태우는 분들도 는데, 이것은 별로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아기그네

 다쳤을 무조건 빨리 병원으로?

높은 데서 떨어졌거나 교통사고를 당해 아이가 크게 다치면 아이를 빨리 병원으로 옮겨야 합니다.

그런데 다친 아이가 의식이 없거나 등이나 목이 아프다고 하면 옮길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등뼈나 목뼈를 다친 환자를 잘못 옮기면 척추에 손상을 주어 평생 장애를 안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목뼈나 등뼈가 부러진 같으면 우선 환자를 움직이게 하지 말고 그대로 고정할 있는 법을 찾아야 합니다.

담요나 모래주머니 등을 몸의 양옆에 대서 움직임을 막아주는 것도 좋습니다.

그리고 전신을 받쳐줄 있는 들것이나 판자에 눕혀서 옮겨야 합니다.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함부로 옮기지 말고 119구급대를 바로 부르십시오.

등뼈나 목에 골절을 입은 환자를 그냥 둘러업고 병원으로 뛰어가는 것은 정말 위험한 일입니다.

시간이 조금 걸리더라도 바른 방법으로 환자를 이송하는 것이 치명적인 후유증을 줄일 있는 길입니다.

응급이라고 병원에 빨리 가는 것만이 능사는 아닙니다.

 

* 쇼핑 카트도 주의하세요!!

대형 할인점의 쇼핑 카트에 아이를 앉힐 때는 절대로 한눈을 팔면 됩니다.

아이가 일어서다가 거꾸로 떨어져 구르기도 하고, 카트 옆면을 손으로 잡고 가다가 다른 카트가 지나갈 손이 사이에 끼여 다치기도 합니다.

생각보다 매우 흔히 일어나는 사고입니다. 주의하세요.

 

* 자전거 안전 장구 사용하세요!!

자전거는 걷는 것에 비해서 빠른 속도로 움직입니다.

넘어지거나 부딪치는 경우 심각한 상처를 입을 위험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헬멧을 착용하고 보호대도 사용해야 합니다.

킥보드와 세발자전거와 스케이트를 때도 반드시 안전 장구 착용해야 한다는 잊지 마세요.

 

2022.08.08 - [분류 전체보기] - 아이화상입었을때 햇볕화상 아무렇게 대처하면 안돼요!

 

아이화상입었을때 햇볕화상 아무렇게 대처하면 안돼요!

햇볕에 화상을 입었을 때 • 휴가 가기 전 아이들의 피부를 햇볕에 적응시켜두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들을 데리고 산과 바다 등 야외로 나갈 때는 따가운 햇볕에 화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해야

health.tru-ut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