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영유아 및 어린이

아기들이 여름에 걸리기 쉬운 땀띠 대처방법

by 트루티 2022. 8. 12.
반응형

여름에 걸리기 쉬운 질환

땀띠

여름은 기온이 높고 습기가 많아 아이들이 여러 가지 질환에 걸리기 쉽습니다.

여기에서는 가운데 특히 걸리기 쉬운 땀띠와 식중독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그밖에 기저귀 발진이나 농가진, 장염, 유행 결막염, 귓병 등에도 걸리는데, 이들 질환에 대해서는 각각 독립된 항목으로 자세히 다뤘으므로 해당 항목을 찾아보시면 됩니다.

 

기저귀 발진 빠르게 대처하기 A to Z

습한 날이 계속되면 더욱이 아기의 기저귀 발진이 잦아집니다. 피부가 연약한 아기들은 누구나 걸리기 쉬운 것이 기저귀 발진입니다. 포스팅 글을 읽고 나면 아이에게 기저귀 발진이 왜 생기는

health.tru-uty.com

 

 

너무 흔해서 오히려 잘못 대처하기 쉬운 땀띠

땀이 많이 나는 아이는 땀띠가 생길 소질이 있습니다

땀띠는 아기가 더워서 땀을 많이 흘릴 땀샘의 구멍이 막히면서 땀이 제대로 나오지 못해 물집 같은 것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땀띠는 주로 땀이 많이 차는 부위에 생기는데, 이마와 주위에 생기며, 심한 경우에는 등에 하나 가득 땀띠가 생기기도 합니다.

우리나라는 아이를 싸서 덥게 키우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여름뿐 아니라 겨울에도 아기들이 땀띠가 생깁니다. 땀띠는 투명하게 물집이 잡히는 경우도 있지만 염증이 생겨 발갛게 변하기도 합니다.

땀띠가 발갛게 변하면 소아청소년과에 한번 가보는 것이 좋습니다.

 

땀띠는 예방이 치료보다 중요합니다

시원하게 키우고, 흡수가 되는 옷을 약간 헐렁하게 입히고, 자주 닦아주고, 목에

같은 것은 감아두지 마십시오.

땀띠는 치료하는 것보다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날이 더우면 시원하게 해주고, 땀이 많은 부위는 자주 물로 씻어주면 좋습니다.

특히 접힐 정도로 살이 아이는 체중 관리에 신경을 써야 땀띠가 적게 생깁니다.

접힌 부위의 땀띠는 치료하기 힘듭니다.

간혹 땀을 흡수한다고 살이 접히는 곳에 손수건을 감아두는 엄마도 있는데, 이는 별로 권할 만한 방법이 아닙니다.

소아청소년과에서 진료하다 보면 젖은 수건으로 인해 아이의 상태가 나빠져 피부가 빨갛게 변한 것을 흔히 있습니다.

물론 아기 때의 비만은 평생 있다는 것도 아셔야 합니다. 비만, 이래저래 좋지 않습니다.

 

서늘하게 해주는 것이 땀띠 치료에 가장 좋은 방법

땀이 많으면 목욕을 자주 시키고 말려줍니다.

옷도 헐렁한 옷을 적당히 입히고, 땀이 나면 바로 닦아주십시오. 대개의 경우 땀띠는 별다른 치료를 하지 않더라도 정도의 조치만으로도 좋아집니다.

그리고 땀띠가 생긴 곳에 파우더를 바르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특히 땀띠 치료 연고나 오일이나 로션을 바른 후에 위에 바로 파우더를 뿌리는 일은 피해야 합니다. 끈적끈적하게 떡처럼 달라붙어서 더욱 상태를 악화시킵니다.

땀띠 분을 사용할 주의해야 점들

땀띠 분을 아기에게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땀띠 분은 살이 접히는 부분의 마찰을 줄여주고 아기의 피부를 뽀송뽀송하게 만들어주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인데, 가지 사용상의 주의 사항이 있습니다.

우선 땀띠 분이라는 베이비 파우더는 피부병이 있을 때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다시 말하면 땀띠나 태열이라 불리는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기저귀 발진 등이 있을 때는 파우더를 바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땀띠 분은 분으로 계속 남아 있을 때만 약간의 효과가 있을 , 습기가 차서 젖게 되면 오히려 피부에 자극을 줍니다.

따라서 땀띠 분이 땀에 젖으면 바로 물로 씻어내세요.

가지 주의할 점은 땀띠가 심할 연고나 오일, 로션을 바른 위에 바로 땀띠 분을

바르는 일은 피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면 땀띠 분과 연고가 떡처럼 달라붙어서 상태를 더욱 악화시킬 있습니다.

땀과 파우더가 반죽이 돼서 떡처럼 달라붙으면, 피부가 제대로 숨을 쉬지 못하고 오래 두면 세균도 자랄 있습니다.

파우더 바른 곳을 문질러보아 꺼칠꺼칠하게 느껴지면 젖은 파우더가 말라붙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물로 씻어주어야 합니다.

가지 땀띠 분을 사용할 주의할 점은 땀띠 분은 피부에 자극을 있을 아니라 호흡기로 들어가면 호흡기에도 자극을 일으킨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아기의 몸에 땀띠 분을 직접 뿌려서는 됩니다. 아기한테서 떨어진 곳에서 엄마 손에 땀띠 분을 덜어 아기 몸에 조심스럽게 발라야 합니다.

 

 

*장마철에는 기저귀 발진이 생겨!!

장마철에는 습기가 많은 탓에 기저귀도 마르지 않고 땀도 많이 아기의 엉덩이가 축축해지기 쉬우며, 게다가 날씨가 더워서 균들이 자라기 때문에 기저귀 발진이 생깁니다.

기저귀 발진이 생기면 기저귀 부위의 피부가 붉어지고 거칠어지며, 심하면 진물이 생기고 헐기도 합니다.

심하면 고름이 잡히기도 합니다. 기저귀 발진을 예방하는 제일 좋은 방법은 젖은 기저귀를 바로바로 갈아주는 것입니다.

기저귀든 종이 기저귀든 젖은 기저귀를 오래 차고 있으면 기저귀 발진이 생기기 쉽습니다.

밤중에 젖은 기저귀를 바로 갈아줄 자신이 없을 때는 흡수력이 뛰어난 종이 기저귀를 사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엉덩이 짓무름이 심한 경우에는 하루 시간씩 아기 엉덩이를 벗겨두십시오.

 

*땀띠에는 소금물이 최고?

소금물이 땀띠에 좋다는 이야기를 어디에서 들었는지 아이의 연약한 피부를 소금으로 벅벅 문질러주는 분이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땀띠 부위에 소금물을 묻혀서 그대로 말리는 분도 있습니다.

그러나 소금물은 아이 피부에 손상과 괴로움만 치료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게다가 피부에 소금이 보일 정도로 소금물이 말라붙으면 아이의 피부는 더욱 괴롭게 됩니다.

아마 바닷가에서 수영한 미처 씻지 못했을 햇빛에 소금물이 말라 피부에 자극받은 적이 있었던 분은 쉽게 이해가 가실 겁니다.

 

 

 

아이화상입었을때 햇볕화상 아무렇게 대처하면 안돼요!

햇볕에 화상을 입었을 때 • 휴가 가기 전 아이들의 피부를 햇볕에 적응시켜두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들을 데리고 산과 바다 등 야외로 나갈 때는 따가운 햇볕에 화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해야

health.tru-uty.com

 

 

아이들의 여름철 건강관리 주의점 3가지

여름철 건강 관리, 어떻게 할까요? 여름은 덥고 야외 활동이 많은 계절입니다. 장마 때는 내내 습기가 집니다. 이런 환경적인 특성은 아이들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여름철 건강 관리에 대

health.tru-ut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