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성인병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 에이즈(AIDS)란? 한번에 파헤치기

by 트루티 2022. 5. 18.
반응형

에이즈

에이즈는 어떤 병이고 어떻게, 왜 걸리는 것일까? 치료나 예방은 가능한 것일까?

에이즈의 사전적 의미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후천면역결핍증후군

HIV라는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병하면 나타나는 전염병이 후천면역결핍증후군(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IDS, 에이즈) 입니다.
HIV는 바이러스의 이름이고, AIDS는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생기는 증상들을 일컫습니다.
에이즈는 신체의 면역, 저항력이 저하되는 질병으로 보통 에이즈 질환으로 인한 사망 이외에도 면역력이 약화하여 다른 질병에 추가로 감염되어 합병증으로 사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현재 에이즈는 만성질환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HIV 감염인이란 HIV에 걸린 모든 사람을 뜻합니다. 이 중에서 질병이 나타난 사람을 에이즈 환자라고 부릅니다. 
아무런 치료를 받지 않아도 면역결핍으로 사망에 이르기까지는 10~12년 정도 걸립니다. 
그래서 에이즈에 걸렸더라도 올바른 관리를 한다면 30년 이상 살 수 있습니다. 

HIV와 에이즈(AIDS)는 다른 말입니다. 
HIV는 바이러스를 말하며 에이즈는 면역이 결핍돼 나타나는 상태를 뜻합니다. 그래서 HIV에 걸린 사람을 에이즈 환자라고 부르지 않습니다.


에이즈의 원인

에이즈는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의 감염으로 나타나는 결과입니다. 
에이즈를 발현시키는 바이러스인 HIV는 레트로바이러스입니다. 
레트로바이러스는 숙주 세포에 침입하여 자신의 RNA를 DNA로 역전사한 후 숙주 세포의 DNA에 끼어들어 가 증식합니다. 
인간 생존에 필수적인 기관들인 CD4+ T 세포와 대식세포 그리고 수지상세포들에 먼저 감염됩니다. 
특히 HIV는 직간접적으로 CD4+ T 세포들을 파괴합니다. 
특히 역전사 과정을 일으키는 역전사 효소는 일반적인 DNA 복제 효소와는 달리 오류정정 기능이 없기 때문에 많은 돌연변이를 일으키게 됩니다. 
그래서 HIV는 매우 쉽게 변이됩니다. 임상 연구에서는 에이즈에 걸린 환자가 여러 가지 변종의 HIV를 지니고 있는 경우가 자주 보고되고 있습니다.

만일 HIV가 CD4+T세포들을 제거하기 시작하여, 혈액 1µL당 200개 안팎의 T세포 밖에 남지 않게 되면 세포성 면역을 잃은 것으로 보게 됩니다. 
급성 HIV 감염은 곧 임상적 후기 HIV 감염으로 진행하게 되고 결국 에이즈에 이르게 됩니다. 
정확하게 혈액 내에 남아있는 CD4+ T세포의 수를 측정하여 위와 같은 진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HIV 감염자의 50~70%는 감염 후 3~6주 뒤 독감과 유사한 급성 임상 증후군을 앓게 됩니다. 
그러나, HIV 감염자는 그 이후 짧으면 3년에서 길면 12년까지 무증상 상태를 보이므로 즉시 HIV 감염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매우 일반적 입니다. 
그리하여 안타깝게도 에이즈의 증세가 나타나기 시작하였을 때에는 이미 신체의 면역 체계가 상당 부분 약화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에이즈의 감염

에이즈는 감염된 부모로부터 태어난 아이도 감염이 됩니다. 
대한민국에서 에이즈 감염을 알고도 자녀를 출산한 경우가 1건 있었는데, 1990년 4월과 5월 각각 에이즈 양성 판정을 받은 부부가 에이즈 감염 사실을 알고도 1993년 1월 여자 아이를 낳은 사례가 있었습니다. 
여자 아이를 출산한 에이즈 감염 부모는 아이의 에이즈 검사를 거부하다가 2003년 8월 검사를 하였습니다. 만10세가 되는 이 아이는 에이즈에 감염된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에이즈는 주로 체액 교환을 통해 감염됩니다. 현대 사회의 주된 에이즈 전염 경로는 성병 예방 조치를 하지 않은 성행위(혈액 감염)와 HIV 감염자의 출생을 통한 수직 감염, 불특정 다수가 돌아가며 사용하는 비위생적인 주사기 및 시술 도구 사용 등으로 인한 혈액 감염이 있습니다.

에이즈는 단순 신체 접촉이나 공기 중으로 감염되지는 않습니다. 
HIV 감염자와 악수하거나 포옹을 한다고 에이즈에 감염되지 않습니다. 
또한 에이즈 보균자가 항상 위험한 것이 아니며 더럽거나 혹은 종교적 저주를 받았거나 문란하거나 사회적인 악영향을 일으키며 에이즈를 감염시키는 것이 절대로 아닙니다. 
왜냐면 에이즈의 경우 대부분이 혈액에 의한 감염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매우 적은 소량의 혈액 한 방울에도 에이즈균은 존재하며 이로 인한 감염이 가능합니다. 
구강에는 상처가 매우 쉽게 나기 때문에 에이즈 감염자의 침에는 혈액이 섞여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입 안에 상처가 있는 비감염자가 손에 상처가 있는 에이즈 감염자가 만든 음식을 먹을 경우에도 혈액에 의한 에이즈 감염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에이즈 보균자의 경우 손이나 몸같은 신체 또는 구강 등에 상처가 나지 않았는지 주의해야합니다. 
또 에이즈 감염자의 경우 상처의 회복이 느린 점도 주의해야합니다. 작은 상처에도 눈에 보이지 않는 매우 소량의 혈액이 분비되며 여기에는 HIV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HIV의 전파도는 초기 감염자의 전파성과 감염되지 않은 파트너의 감수성에 영향을 받습니다. 
병의 전파성은 개인마다 일정하지 않습니다. 혈장에서 바이러스가 발견되지 않은 것이 정액이나 생식기 분비물에서도 바이러스가 없다는 것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혈액 HIV 수치가 10배 증가할 때마다 81%의 경우에서 전파가능성이 증가했습니다. (각주1,각주2)

여성의 경우가 호르몬 변화나 생식기의 미생물학적 환경 때문에 HIV-1에 더 감수성이 높습니다. 
HIV 균주 중 하나에 감염되었다고 해서 다른 균주에 감염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생존하고 있는 동안에는 더 병원성이 강한 균주에 의해 재감염 될 수 있습니다. 
항문은 점막이 매우 연약하여 항문 성교의 경우 다른 체위에 비해 HIV 감염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HIV 감염 위험이 높은 군

주로 동성연애 남성이나 양성연애 남성, 정맥 약제 사용자가 80%로 HIV 감염률이 높은 위험집단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또 다른 위험집단으로는 고위험 성 상대자(9%), 혈우병 환자나 자주 수혈받는 환자(2.5%), 감염 산모에서 출생한 영아(1.5%), 의료종사자(0.01% 이하), 그리고 규명되지 않은 위험요인이 있는 환자(7.5%)가 있습니다.

 


에이즈의 증상과 발전단계

1단계, 급성 HIV 증후군 : HIV 감염 환자의 50~70% 정도는 1차 감염 후 3~6주가 되면 독감과 유사한 급성 임상 증후군을 앓게 됩니다. 이는 혈중 바이러스 농도의 폭발적인 증가를 보입니다. 그러나 몇 주 정도 지나면 체내의 능동 면역 기전이 동작하면서 혈중 바이러스 농도가 감소하고 급성 임상 증상도 점차 사그라집니다.
2단계, 무증상기 : 급성 임상 증후군을 앓은 뒤 대개 8~10년간은 치료를 하지 않아도 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체내의 HIV의 증식은 느리지만 계속 일어나며, 이에 반해 꾸준히 CD4+ T세포는 감소합니다. 일반적으로 혈중 HIV RNA 농도가 높을수록 무증상기는 짧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평균적으로 이 기간에는 CD4+ T 세포가 일 년에 최대 50/µL씩 감소하며, 혈중 CD4+ T 세포가 200/µL 미만이 될 정도로 면역력이 떨어지면 기회 감염과 종양에 매우 취약해지게 됩니다.
3단계, 증상기 : CD4+ T 세포가 극히 감소하여 면역력이 거의 상실되면, 환자는 P. jiroveci, 미코박테리아, CMV 등의 면역 결핍 없이는 거의 잘 발생하지 않는 기회성 감염을 앓게 됩니다. 그러나 현재 복합 항 바이러스 제제에 의한 치료법과 기회감염 처치술의 발달로 이러한 2차 감염을 상당히 조절할 수 있습니다.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 치료 없이는 HIV감염 후 에이즈로 발달하기까지 보통 9~10년 정도 걸립니다. 
그리고 에이즈로 진행된 후에는 평균적으로 10개월을 살지 못합니다. 
그러나 임상적인 병의 진행 속도는 개인에 따라 다양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2주도 안 걸리는 데 반해 다른 경우에서는 20년이나 걸리기도 합니다.

다양한 요소들이 병의 진행속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적으로 면역 증강에 도움이 되는 요소들도 진행을 늦추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나이가 많아 면역계가 약해진 노인층에서 진행 속도가 특히 빠른 것이 이 때문입니다.

에이즈의 진단

HIV에 감염된 대부분의 사람은 최초의 감염 이후 3주에서 12주 이내에 특정한 항체를 발달시킵니다. 
혈청 변환 전의 HIV 진단은 HIV-RNA나 p24 항원을 측정함으로써 행해집니다. 
항체 검사나 PCR 통하여 얻어진 확진 결과는 다른 항체 검사나 PCR을 수행한 후 확정됩니다.
HIV/AIDS는 실험실 검사를 통해서 진단되며, 증상의 발현에 근거하여 단계가 결정됩니다.

모자 수직 감염에 대한 에이즈 예방
HIV의 수직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감염 비율을 92%에서 99%까지 낮출 수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에는 주로 임신 중과 출산 후의 항바이러스제 배합의 사용되며, 모유 수유보다는 분유 수유를 권장합니다.
2015년 쿠바는 HIV의 모자 수직 감염을 근절한 최초의 국가가 되었습니다. (각주3)

현재 HIV나 AIDS를 위한 허가된 백신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에이즈의 치료

에이즈의 완치가 가능하다는 사실은 발견되었으나,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 완성되지 않았습니다. 
1995년에 시작된 일종의 칵테일 요법인 고활성 항레트로바이러스 요법(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이하 HAART 요법)이 HIV 질환의 진행을 늦추고 생존기간을 연장시키는 데에 획기적인 성과를 나타내면서, 에이즈는 죽음에 이르는 병에서 당뇨병과 같은 조절 가능한 만성 질환으로 인식이 전환되고 있습니다.

항바이러스 제제의 유형별 약물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뉴클레오사이드 유사 역전사 효소 억제제(Nucleoside analogu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 NRTI)
지도부딘, 디다노신, 잘시타빈, 스타부딘, 라미부딘, 아바카비르
비뉴클레오사이드 역전사 효소 억제제(Non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 NNRTI)
네비라핀, 델라비르딘, 에파피렌즈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Protease inhibitor, PI)
사퀴나비르, 리토나비르, 인디나비르

에이즈의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

에이즈 감염균으로 인한 직접적인 사망 외에도 에이즈 감염으로 면역력이 약해지면서 다른 질병이 걸려 사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011년 미국의 국립 암연구소 연구 결과 에이즈환자의 사망원인 가운데 비에이즈 관련 암, 특히 폐암, 항문암, 간암, 호지킨림프종 등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각주 4)
HIV감염자에서는 카포지육종, 비호지킨림프종, 자궁경암 위험이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 HIV감염자에서는 폐암, 항문암, 간암, 호지킨림프종 등의 ‘비에이즈 관련 암’ 위험이 높아집니다.

에이즈 전파매개행위에 대한 처벌

대한민국 법령 제19조에 따르면 '에이즈에 감염된 사람이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전파매개행위를 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제25조에서는 '이를 위반할 경우 3년 이하의 징역형으로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각주 1. Laga M, Nzila N, Goeman J (1991). "The interrelationship of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nd HIV infection: implications for the control of both epidemics in Africa". AIDS 5 (Suppl 1): S55–S63. PMID 1669925
각주 2. Tovanabutra S, Robison V, Wongtrakul J, et al. (2002). "Male viral load and heterosexual transmission of HIV-1 subtype E in northern Thailand". J. Acquir. Immune. Defic. Syndr. 29 (3): 275–283. PMID 11873077
각주 3. “WHO validates elimination of mother-to child transmission of HIV and syphilis in Cuba”. World Health Organization. June 30, 2015.
각주 4. 에이즈 환자 사망원인, 폐암·항문암 등으로 사망하는 경우 증가, 쿠키뉴스 2011.06.20

 

 

 

2022.05.17 - [건강] - 면역/ 선천면역/ 후천면역의 정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