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글라스는 멋으로 끼는 것이 아닙니다
어른들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부분이지만 우리의 시력은 중요합니다.
아이들의 눈은 아직 완전하지 못하므로 더욱 지켜주어야 합니다.
단순히 예쁘기만을 위한 장난감컬러렌즈의 선글라스는 제발 피해주세요.
• 선글라스는 반드시 자외선이 차단되는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요즘은 아이들도 선글라스를 많이 끼고 다닙니다.
선글라스는 햇빛이 강할 때 눈을 보호하기 위해 쓰기도 하고, 가끔 멋을 내기 위해 쓰기도 합
니다.
자외선에 의한 자극이 눈에 누적되면 백내장을 일으킬 수도 있으므로, 외출할 때 특히 자외선이 강한 야외로 나갈 때는 선글라스를 끼는 것이 좋습니다.
선글라스는 햇볕을 차단하기 때문에 시야가 어두워져 동공이 확대됩니다.
따라서 자외선을 차단하지 못하는 선글라스를 끼면 확대된 동공으로 몇 배의 자외선이 쏟아져
들어와 아이의 시력에 손상을 입힐 수 있고, 나중에 백내장이 생길 확률도 높아집니다.
선글라스는 반드시 자외선이 차단되는 선글라스를 사용해야 합니다.
• 값싼 플라스틱 렌즈로 된 선글라스는 사주지 마세요
아이들에게 장난감 삼아 값싼 플라스틱 렌즈로 된 선글라스를 사주는 부모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플라스틱 렌즈는 아이들의 시력 발달에 지장을 줄 수 있다는 것이 안과 전문의들의 의견입니다.
시야가 깨끗하지 않은 렌즈를 계속 사용하면 아이의 시력 발달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선글라스의 재질은 플라스틱보다는 유리로 만들어진 것을 추천합니다.
초점을 정확히 맞추는 데도 유리가 플라스틱보다 좀 낫다고 합니다.
유리가 무겁다면 자외선차단기능이 있는 렌즈의 선글라스를 구입하세요.
ZARA나 H&M 등의 스파브랜드에서도 자외선차단기능이 있는 선글라스는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아이들에게 오랫동안 선글라스를 끼워주고 싶을 때는 되도록 안과 의사의 처방과 조언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물놀이할 때 주의해야 할 것들
• 햇볕에 타서 화상을 입을 수도 있습니다
해마다 여름이면 물놀이한 다음날 콧잔등과 등이 햇볕에 타서 통증 때문에 소아청소년과에 오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산이나 바닷가는 도시보다 자외선이 강한데, 도시에서 자란 아이들은 피부가 강한 자외선에 적응되어 있지 않아서 쉽게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자외선은 구름을 통과하기 때문에 구름이 낀 날도 햇볕에 탈 수 있습니다.
아이들의 경우 차가운 물 속에서 놀다 보면 정신이 팔려 피부가 발갛게 익어도 아픈 것을 모를 수 있으므로 틈틈이 피부를 살펴야 합니다.
물에 들어가기 전에 물에 잘 지워지지 않는 자외선 차단 크림을 발라주시고 물에 들어가지 않을 때는 긴소매 옷을 입히고 모자를 씌워주십시오.
피부가 화상을 입어 아이가 밤에 갑자기 아프다고 울면 찬물이나 얼음찜질을 해주고 타이레놀과 같은 진통제를 먹이십시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야외에서는 비닐 포장된 하드를 포장째 수건에 싸서 화상 부위에 대주어도 좋습니다.
• 귀에 물이 들어갔다고 면봉 등으로 후비면 안 돼요
물놀이를 한 후에 귀에 들어간 물을 뺀다고 귀를 면봉으로 후비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물에 불은 귀 안의 피부는 면봉에 의해 쉽게 손상을 받아 외이도염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귀에 물이 들어간다고 중이염이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귀에 들어간 물은 저절로 마르거나 흘러나옵니다. 머리를 기울여 흔들어주거나 손수건의 끝을 뾰족하게 해서 귓구멍 안에 살짝 대주면 물이 쉽게 빨려내옵니다.
수영한 다음 날 귀가 아픈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는 바로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 물놀이 갔다 온 후 눈이 발갛게 되면 바로 안과를 찾아야 합니다.
유행결막염과 같은 눈병은 해마다 여름이면 아이들을 괴롭히는데, 수영장을 갔다 온 후 눈이 발갛게 변하면 바로 안과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대충 안약만 넣고 집에서 버티다가 합병증이 생기는 날에는 시력이 손상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모래사장에서 놀다가 눈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때는 식염수를 눈에 부어서 제거하거나 거즈로 묻혀 냅니다.
좀 큰 아이의 경우는 깨끗한 물에서 눈을 떠보게 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잘 안되면 눈동자가 움직이지 않게 눈을 가리고 안과로 가는 것이 눈에 손상을 적게 주는 지름길입니다.
아이들은 눈에 이물질이 들어가면 자꾸 비비는데, 모래같이 딱딱한 것이 눈에 들어간 경우에는 눈에 손상을 줄 수도 있으므로 비비지 못하게 해야 합니다.
*야외에서 벌이나 곤충에 쏘였을 때!!
아무래도 짧은 옷을 입고 야외로 나가면 벌레에 쏘이기가 쉽습니다.
벌에 쏘였을 때는 쏘인 부위를 잘 씻고 바로 침을 제거해야 합니다.
이때 침에 독주머니가 남아 있을 수 있으므로 핀셋이나 날카로운 칼로 조심스럽게 제거해야 합니다.
잘못 건드렸다가는 독주머니에 있는 독을 피부에 짜 넣을 수도 있습니다.
곤충에 쏘였을 때는 쏘인 부위뿐만 아니라 손도 잘 씻겨야 합니다.
아이들이 물린 곳을 자꾸 긁다 보면 균이 들어가 염증이 생길 수도 있으니까요.
아이가 너무 가려워 자꾸 긁으려 하면 물파스를 발라주십시오. 가려움을 줄일수가 있습니다.
벌레가 많은 야외로 나갈 때는 아이에게 긴소매 옷을 입히는 것이 좋습니다.
벌레에 쏘이거나 물린 곳도 심하게 붓고 염증이 생기면 병원에 가서 치료받아야 합니다.
벌레 물린 것쯤이야 하고 그냥 두었다가 물린 부위가 곪아서 째는 아이가 휴가철이면 수두룩합니다.
'건강 > 영유아 및 어린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의 식중독 증상 배탈증상 설사증상에 대처방법 (0) | 2022.08.16 |
---|---|
아기들이 여름에 걸리기 쉬운 땀띠 대처방법 (0) | 2022.08.12 |
아기선크림 제대로 알고 사용하기 (0) | 2022.08.10 |
아기와 휴가보낼때 체크해야할 점 자동차여행 가능한 월령은? (0) | 2022.08.05 |
신생아 돌쟁이 모기향 사용해도 될까요? (0) | 2022.08.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