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의 설사 증상에 대해 알아봅시다(2)
설사를 할 때 동반되는 증상들
• 설사할 때의 증상은 진단을 붙이는 데 중요한 정보
설사는 장에 탈이 났다는 하나의 신호입니다.
설사를 할 때는 아이가 어떤 상태인가를 판단하기 위해서 동반되는 다른 증상을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설사를 할 때 동반되는 증상은 엄마가 아이를 소아과에 데려가야 할 것인가를 결정하게 하는 중요한 정보일 뿐만 아니라 소아과 의사가 진단을 붙이는 데도 중요한 정보입니다.
그래서 소아과에 갈 때는 변 기저귀를 가지고 가서 보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변을 볼 때 변에 코 같은 것이 많이 묻어 나온다면 장에 염증이 생겼을 가능성이 있으며, 변에 피가 섞여 나온다면 세균성 장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설사에 피가 섞인 변이 나오고, 아이가 자지러지고, 10~20분 간격으로 아이가 운다면 장이 꼬여서 그럴 수도 있습니다.
변이 변기에 뜨거나 심한 복통에 구토가 동반되는 등의 증상 역시 설사의 원인을 밝히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설사에 흔히 동반되는 곱똥과 피똥에 대해서 조금 말씀드리겠습니다.
• 변에 코 같은 것이 섞여 나오는 곱똥
설사변에 코 같은 것이 섞여나오는 경우가 드물지 않게 있습니다.
이런 경우 소아과 의사들은 아이가 세균성 장염에 걸렸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합니다.
물론 세균성 장염이 아닌 다른 원인 때문에 그럴 수도 있습니다. 예를들면 이유식 초기에 아기의 장이 적응을 못해 곱똥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그렇더라도 아기의 설사변에 코 같은 것이 섞여 나오면 세균성 장염 때문은 아닌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우스갯소리 같지만 간혹 코나 가래가 넘어가서 그런 것 아니냐고 물어보는 엄마들이 있는데, 코나 가래는 위를 통과할 때 소화작용을 거치기 때문에 삼킨 코나 가래가 그대로 변에 나오는 경우는 별로 없습니다.
• 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피똥
일단 변에 피가 섞여 나오면 의사들은 긴장합니다.
피가 섞여 나오는 병치고 어느 것 하나 간단한 것 이 없기 때문입니다.
세균에 의해서 생긴 이질 같은 장염이 그러합니다.
장염의 경우 피가 섞여 나올 때는 약간의 곱이 함께 섞여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횟수도 증가하고 물기도 증가합니다.
이런 아이들은 엄마가 보기에도 일견 장염에 걸린 것처럼 보입니다. 열도 나고 힘들어합니다.
이런 경우는 세균성 장염의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피똥을 이야기한 김에 두 가지만 더 이야기하겠습니다.
피가 섞인 변을 누면서 아이가 자지러지게 1~2분 울고 10~20분 조용하고를 반복하면 장 중첩을 의심해야 합니다.
이때는 피똥 누기 전에 아이가 너무 울어서 병원에 오게 되기는 합니다.
그리고 여름에 간혹 놀라서 기저귀를 싸들고 뛰어오시는 엄마들이 있습니다. 어린 아기가 수박을 먹고 난 후에 변에 수박이 나오면 피보다 더 피 같습니다.
피는 시간이 지나면 약간 거무스름해지는데 수박은 시간이 지나도 계속 피 같아서 보는 엄마의 가슴을 섬뜩하게 합니다.
일 년에 몇 번씩은 소아과에서 이런 일이 벌어집니다.
아무튼 아이 변에 피가 섞여 나오면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어떤 때 병원에 데려가야 하나요?
소아과에 걸려 오는 전화 가운데 가장 많은 내용이 "우리 아기의 증상이 이러이러한데 병원에 데려가야 하나요?" 하는 것입니다.
설사를 하는 것 같기는 한데 경험이 없기 때문에 심한 것인지 약한 것인지, 그냥 두어도 되는 것인지 병원에 가야 하는 것인지를 모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아기의 변을 가지고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소아과는 아픈 아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만 찾는 곳이 아닙니다.
아이가 얼마나 아픈지 그리고 정상인지 비정상인지를 확인할 목적으로 소아과를 찾을 수도 있으니까요.
증상으로는 설사가 심하거나, 설사에 코 같은 것이나 피가 섞여 나오거나, 자장면 같은 색깔의 설사를 하거나, 배를 많이 아파하거나, 열이 많이 나거나, 축 처져 있거나, 힘이 없거나, 흔들어 깨워도 잘 안 깨거나, 주위에 관심이 없어지거나, 설사 때문에 8시간 이상 오줌을 안 누거나 횟수가 많이 줄어들면 아기를 소아과에 데려가야 합니다.
심한 병에 걸렸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아이가 너무 심하게 처지고 오줌을 안 누면 밤중이라도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아이들은 어른과는 달리 몸이 작기 때문에 설사를 조금만 심하게 해도 금방 탈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설사를 많이 하는 아이는 반드시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곱똥이나 피똥이 나올 때는!!
일단 소아과를 방문해 아기의 변을 보여주고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진찰 소견 상세균성 장염이 의심된다고 할 때는 치료 도중 아이가 멀쩡해졌다고 의사의 지시 없이 먹이던 약을 임의로 끊어서는 절대로 안됩니다. 세균성 장염의 경우 약을 10일 이상 먹여야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함부로 진단을 붙이지 맙시다!!
소아과에서 아이들을 진료하다 보면 엄마들께서 미리 진단을 붙여서 반쯤 치료하다가 안되면 오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설사란 다들 크면서 몇 번씩 하는 별것 아닌 병처럼 생각하기 쉽지만 예전에는 설사 때문에 고생도 많이 했고 위험하기도 했습니다.
설사를 하는 병에 걸렸을 때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예나 지금이나 아이들이 고생하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2022.07.29 - [건강/영유아 및 어린이] - 아기설사원인과 증상 자가진단금지 기저귀가지고 꼭 소아과가세요
아기설사원인과 증상 자가진단금지 기저귀가지고 꼭 소아과가세요
아기의 설사 증상에 대해 알아봅시다(1) 여름철 장염이나 노로바이러스 등으로 고생하는 아기들이 꼭 있습니다. 가정에서 이런 상황을 마주할때 당황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아이들이 겪는 설사
health.tru-uty.com
'건강 > 영유아 및 어린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에게 지사제 함부로 먹이지마세요 아기설사 꼭 알아야하는 것들(2) (0) | 2022.08.01 |
---|---|
아기가 설사할때 대처방법 부모라면 꼭 알아두어야 할 것들(1) (0) | 2022.07.31 |
아기설사원인과 증상 자가진단금지 기저귀가지고 꼭 소아과가세요 (0) | 2022.07.29 |
아이 상처 제발 아무렇게 두지마세요! 모르면 평생 흉터로 후회하는 소아과전문의 추천 상처대처법 (0) | 2022.07.28 |
아기 모기나 개미,벌에 물렸을때 꼭 기억하세요! (0) | 2022.07.27 |
댓글